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193
한자 梁仁黙
영어공식명칭 Yang Inmuk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효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7년 6월 19일연표보기 - 양인묵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6년 - 양인묵 김태원 의병진에서 의병으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 양인묵 광주 3.1운동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20년 10월 - 양인묵 대동단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20년 10월 4일 - 양인묵 일본 경찰에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21년 - 양인묵 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형 선고
활동 시기/일시 1921년 12월 13일 - 양인묵 대구복심법원 항소심에서 무죄 방면
몰년 시기/일시 1957년 4월 20일연표보기 - 양인묵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양인묵 대통령 표창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양인묵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전라도 광주목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 23-1]
성격 의병|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김태원 의진 의병|대동단 회원

[정의]

대한제국기 전라남도 광주 지역 출신의 항일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양인묵(梁仁黙)[1877~1962]은 1877년(고종 14) 전라도 광주목[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서 태어났다. 김태원(金泰元) 의병진에서 의병 활동을 시작하여 항일 운동에 나섰고, 전라남도 광산군 임곡면[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에서 광주 3.1운동을 이끈 뒤, 대동단(大同團)에 가입하여 전라남도 지역의 부호들을 대상으로 군자금 모금 활동을 하였다.

[활동 사항]

양인묵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1906년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김태원 의병장 휘하에서 의병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에는 고향인 전라남도 광산군 임곡면에서 군중들을 주도하여 만세 시위를 이끌었다. 그 뒤 항일 독립운동 방법을 모색하던 중 경기도 경성부[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격동]에 거주하는 신덕영(申德永)의 권유로 1920년 10월 대동단에 가입하였다. 양인묵은 동지들을 규합하여 군자금 모금 운동을 시작하였다. 전라남도 광주·곡성·화순 등지의 부호들에게 경고문을 발송하고 군자금 기부 대상을 모집하였다.

1920년 10월 4일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금계리[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남동 부근] 조병철(曺秉喆)의 집에서 군자금 모집 정보를 논의하다가 일본 경찰에 붙잡혔다. 이때 양인묵은 양지봉(梁志鳳), 양하묵(梁夏黙), 임승호(林承鎬), 민영두(閔泳斗), 기근섭(奇近燮), 박동춘(朴東春) 외 여러 부호들의 성명, 주소 등 군자금 기부자 명단을 조병철에게 제공하였다. 1921년 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그해 12월 13일 대구복심법원 항소심에서 무죄 방면되었다.

[묘소]

1990년 9월 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운동가 제1묘역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1980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유공자 공훈록』7(국가보훈처, 1990)
  • 「판결문」(광주지방법원형사부, 1921. 5. 31.)
  • 「판결문」(대구복심법원, 1921. 12. 13.)
  • 국립대전현충원(https://www.dnc.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