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주역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92
한자 光州歷史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98년연표보기 - 『광주역사』 간행
간행처 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 광주광역시
성격 향토지
간행자 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1998년에 발행한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광주의 시사를 엮은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광주광역시는 민족의 위기가 있을 때마다 고난을 극복하기 위해 앞장섰던 도시였다. 이러한 긍지를 되새기고자 『광주역사(光州歷史)』가 간행되었고,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작성한 광주 시민을 위한 역사책(歷史冊)이다.

[형태]

430쪽이고, 삽화와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22㎝이다.

[구성/내용]

서장(序章)부터 종장(終章)까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장은 1절 광주의 인문지리적 환경, 2절 광주역사의 체계적 인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1절에서는 지리적 조건, 면적, 인구, 인접지역과의 관계를 다루었다. 2절에서는 상고시기, 삼국과 통일신라시기, 고려시기, 조선시기, 일제시기, 현대를 다루었다.

제1장 '고대시기(古代時期)의 광주'는 1절 상고시기(上古時期)의 사회와 문화, 2절 마한·백제시기(馬韓百濟時期)의 사회와 문화, 3절 통일신라시기(統一新羅時期) 무주(武州)의 호족과 불교문화로 구성되어 있다. 1절에서는 구석기시기, 신석기시기, 청동기시기, 원삼국시기(原三國時期), 고분시기(古墳時期)를 다루었다. 2절에서는 마한사회의 성장, 마한신미제국(馬韓新彌諸國)의 실체, 백제에로의 편입을 다루었다. 3절에서는 무주의 행정체계와 지방민, 호족의 등장과 불교문화를 다루었다.

제2장 '고려시기(高麗時期)의 광주'는 1절 후백제의 성립, 2절 지방세력의 추이와 농민의 생활, 3절 불교문화의 융성, 4절 왜구의 침략과 격퇴로 구성되어 있다. 1절에서는 후백제의 성립과 호족, 견훤정권(甄萱政權)의 몰락을 다루었다. 2절에서는 행정체계의 변화와 지방세력의 추이, 농민의 생활을 다루었다. 3절에서는 불교사상의 통합, 수선사(修禪社)와 백련사(白蓮社)를 다루었다. 4절에서는 왜구의 침략, 왜구에 대한 방어를 다루었다.

제3장 '조선전기(朝鮮時期)의 광주'는 1절 사림의 형성과 절의정신(節義精神), 2절 사림문학과 누정, 3절 왜란·호란과 의병활동, 4절 양란 이후 향촌사회의 변화와 사족(士族)의 활동, 5절 향촌사회의 변화와 농민항쟁으로 구성되어 있다. 1절에서는 고려말 성리학의 수용과 광주지역의 유학자, 사림의 형성과 향촌통제, 광주지역 사람의 유학과 절의정신을 다루었다. 2절에서는 조선전기 사람의 시가문학과 누정, 조선후기 사림과 서민의 문학을 다루었다. 3절에서는 임진왜란의 발발, 초기 의병 봉기와 고경명군(高敬命軍)의 금산 싸움, 전라좌·우도 의병의 활동과 진주성 싸움, 김덕령(金德齡)의 의병활동, 정유재란(丁酉再亂)과 전라도 지역의 피해, 호란(胡亂)과 광주의병을 다루었다. 4절에서는 양란 이후의 사회변화, 조선후기 광주의 인구와 면리(面里) 및 토지·세액(土地稅額), 향촌사회의 재편, 광주지방 사족들의 활동을 다루었다. 5절에서는 19세기 전반기의 사회경제적 배경, 수취체제의 문란과 농민의 피폐, 농민항쟁의 발생, 농민항쟁기의 광주를 다루었다.

제4장 '근대시기(近代時期)의 광주'는 1절 개항후의 사회변화와 동학농민혁명, 2절 일제의 침략과 의병전쟁, 3절 일제의 식민지체제와 3.1운동, 4절 광주학생독립운동, 5절 사회경제의 변화와 사회운동로 구성되어 있다. 1절에서는 개항과 사회변화, 동학농민혁명과 광주를 다루었다. 2절에서는 일제의 침략, 제1·2차 의병과 광주, 제3차 의병과 광주를 다루었다. 3절에서는 일제의 무단통치와 토지조사사업, 3.1운동의 전개, 광주의 3.1운동을 다루었다. 4절에서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배경,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진행, 광주학생독립운동의 확산과 그 의미를 다루었다. 5절에서는 소작쟁의와 농민운동, 노동쟁의와 노동운동, 사회운동을 다루었다.

제5장 '현대(現代)의 광주'는 1절 해방과 대한민국의 수립, 2절 민주주의의 시련과 4.19민주혁명, 3절 5.16군사쿠테타와 유신체제, 4절 경제개발과 사회운동, 5절 5.18광주민중항쟁, 6절 문화예술로 구성되어 있다. 1절에서는 8.15해방과 광주, 미군의 광주 진주와 군정의 수립, 대한민국의 수립과 광주를 다루었다. 2절에서는 4.19민주혁명과 광주, 제2공화국의 수립과 광주를 다루었다. 3절에서는 5.16군사쿠테타와 제3공화국, 유신체제하의 광주를 다루었다. 4절에서는 1950년대 광주의 경제와 사회운동, 1960년대 광주의 경제와 사회운동, 1970년대 광주의 경제와 사회운동, 광주권 생산도시화운동(生産都市化運動)을 다루었다. 5절에서는 부마항쟁(釜馬抗爭)과 이른바 '서울의 봄', 광주민중항쟁의 배경과 신군부의 동향, 광주민중항쟁의 전개과정, 신군부의 강경진압과 미국의 역할, 정부의 입장변화와 광주민중항쟁의 의의를 다루었다. 6절에서는 문학, 음악, 미술, 연극, 무용, 사진, 건축을 다루었다.

각 절마다 참고문헌을 수록하였고, 종장에서는 광주역사의 전망에 대해 기술하였다.

[의의와 평가]

광주광역시의 역사를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한 책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