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282
한자 文化藝術政策
영어공식명칭 Culture and Arts Policies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형주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문화예술 분야의 진흥을 위한 정책.

[개설]

광주광역시의 문화예술 정책은 2019년도 기준으로 크게 문화도시정책과 문화기반조성, 문화산업으로 구분된다.

[문화도시정책]

광주광역시는 '품격 있는 문화도시 광주'를 실현하기 위해 문화도시정책 수립, 문화도시교류 및 문화예술 교육·지원, 문화예술·공연예술·독서인문학 진흥사업, 시립도서관·시립미술관·문화예술회관 운영 등을 시행하고 있다.

문화도시정책 수립을 위해 광주광역시는 광주 문화정책 비전 수립과 광주 문화예술 통합 홍보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광주 문화정책의 비전은 향유 개념의 문화에서 벗어나 일자리·상품·브랜드·산업과 연계하여 문화가 시민들의 일상 속에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대 목표[문화재생도시·문화향유도시·문화창조도시·문화스포츠도시]와 10대 중점과제를 설정하고, 아시아문화전당·광주문화재단 등 14개 문화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외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운영 활성화, 도시환경 조성 정상화, 특화사업 발굴을 통한 예술 진흥 및 문화·관광산업 육성, 문화교류도시로서의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 문화예술 통합 홍보 플랫폼은 광주의 다양한 문화행사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로, 2019년부터 시범모델 발굴 등의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문화도시교류 정책은 국내외 문화도시 간의 네트워크 교류 강화로 수행되고 있는데, 2019년 광주·취안저우·요코하마 3개 도시가 MOU를 체결하여 정책 포럼을 개최하고, 3자 간 예술단 방문공연 등이 이뤄지고 있다. 더불어 아시아문화포럼이나 국제문화교류협의회 등을 통해 문화예술 분야의 정보교류가 이뤄지고 있다.

문화예술 교육·지원 정책의 경우 시민 문화예술 교육확대 사업으로 수행되고 있는데, 이는 학교 문화예술 교육 활성화사업, 창의적 사회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공모, 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운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예술 관련 진흥사업으로는 광주비엔날레, 광주국제미술전람회,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등 대규모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광주광역시가 2014년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로 지정되면서 미디어아트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플랫폼[AMT 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7개의 미디어아트 창의 벨트를 조성하고 있다. 더불어 임방울국악제정율성음악회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프린지페스티벌,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광주프린지인터내셔널 등을 통해 주말 문화행사 프로그램들을 브랜드화하고 있다.

도서인문학 진흥을 위해 인문도시 기반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협약을 체결하여 『디지털광주문화대전』을 편찬하였다. 이외에도 공공도서관 추가 확충, 작은도서관 조성 및 지원 등을 수행하고 있다.

광주광역시가 운영하고 있는 문화예술 관련 기관들은 광주시립도서관광주시립미술관, 광주문화예술회관 등이 있으며, 각 기관별로 특화된 문화 프로그램들을 운영하여 광주광역시의 문화예술사업들이 시민들의 생활 속에서 함께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문화기반조성]

광주광역시 문화기반조성 정책은 크게 문화기반시설 확충, 생활문화센터 조성,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플랫폼[AMT] 건립, 문화유산 보존·관리, 전통문화 계승·보존, 시립민속박물관 운영 등으로 시행되고 있다. 특히 2019년 문화기반조성과를 신설하여 문화기반시설 구축과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재생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문화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전일빌딩을 리모델링하여 '전일빌딩 245[동구 금남로 245]'를 개관하였으며, 상무소각장 부지를 상무복합문화커뮤니티타운으로 구성하기 위해 첫 단계로 광주대표도서관을 건립할 예정이다.

생활문화센터 조성을 위해서 기존의 문화시설을 리모델링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으로 동구 1개[전일빌딩], 서구 4개[농성문화의집, 서구문화센터, 치평동주민센터, 서창동주민센터], 북구 1개[북구평생학습문화센터], 남구 1개[문예회관], 광산구 1개[광산문화원]가 운영되고 있다.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플랫폼[AMT] 건립은 문화도시정책과 연계하여 진행하였으며, 아시아다문화커뮤니티공원[남구 구동]이 건립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의 문화유산 보존·관리는 원형 보존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광주의 문화유산들을 조사하여 문화재로 지정·보존하고 있으며, 그에 미치지 못하는 문화유산들은 관리자나 마을 단위로 보호단체를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

전통문화 계승 및 보존을 위해서 광주광역시는 전통문화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주말상설공연, 전통문화예술강좌 등이 이뤄지고 있다.

광주광역시가 운영하는 시립민속박물관은 광주의 역사와 남도의 민속문화를 조명하기 위해 1987년 개관하였으며, 관련 기획 전시, 책자 발간 등을 수행하고 있다.

[문화산업]

광주광역시의 문화산업 정책은 인프라 구축,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영상·정보산업 육성, 교류 네트워크 구축 및 마케팅 강화, 지역특화산업 육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문화산업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광주광역시는 영상복합문화관, 음악산업진흥센터, 콘텐츠창업보육센터, 세계광엑스포주제관, CGI센터 등을 건립하였으며, 광주실감콘텐츠 큐브 조성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CGI센터의 경우 전국에서 유일하게 문화산업 투자진흥지구로 지정받아 해당 지구에 입주하는 기업에 대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문화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여러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문화 콘텐츠 기획·창작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이스포츠경기장 건립 및 광주스마트모바일 앱 개발 지원센터 운영 등 영상·정보산업과 관련된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외에도 각종 영화·드라마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문화산업 교류 네트워크 구축 및 마케팅 강화를 위해서는 광주 ACE Fair[국제문화창의산업전] 등을 개최하고 있으며, 지역 특화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광주 대표 공예브랜드[오핸즈]를 지정하여 지역의 공예문화를 소개하고 여러 상품들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양림동공예특화거리를 조성하고 우수 공예품의 고급화·상용화를 위한 제작지원 등을 통해 특화산업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15 현행화 [문화기반조성]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