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369
한자 文化院
영어공식명칭 Cultural Center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다미

[정의]

광주광역시 지역의 전통문화를 계승, 발굴, 보전 및 지역 문화를 선도하는 문화·예술 기관.

[개설]

각 지방의 문화원은 '지역 문화의 진흥을 위한 지역 문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법에 따라 설립된 법인'을 말한다. 지방 문화원에서는 지역 문화의 계발·보존 및 활용, 향토 자료를 포함한 지역 문화의 발굴·수집·조사·연구 및 활용, 지역 문화의 국내·외 교류, 지역 문화 행사의 개최 등 지역 문화 창달을 위한 사업,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컨설팅 지원 사업 등을 수행한다.

광주광역시에는 2022년 2월 기준 광주동구문화원[광주광역시 동구 예술길],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광주광역시 서구 풍금로], 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 광주북구문화원[광주광역시 북구 향토문화로], 광산문화원[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등 총 5개의 문화원이 개설되어 있다.

[배경]

1960년대 들어 정부에서는 전국적인 규모와 내실을 가지고 활동하는 문화원들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기 시작하였다. 다음 해인 1961년 정부 차원에서 문화원을 공인, 육성하는 방침을 채택하게 되었다. 문화공보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아 1961년 1월 23일 각 지역 단위 문화원이 회원이 되어 ‘사단법인 한국문화원연합회’를 설립함으로써 공익 단체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5.16 군사혁명 정부는 민족 기풍 진작, 민족 예술의 보호 육성이라는 명분으로 전국에 산재해 있던 각양 각색의 문화 단체들을 끌어모아 혁명 정부의 정책 수행에 활용하였는데, 그 취지에 따라 「지방문화사업 조성법」을 제정하였다. 1965년 7월부터 「지방문화사업 조성법」을 시행하게 되면서 문화원도 제도적으로 보호받기에 이르렀다. 또한 「지방문화사업 조성법 시행령」으로 지방 문화원들이 법인으로 등록하면서 정부의 문화 사업을 위탁받아 수행할 수 있었다. 1970년대에 들어와서 지방 문화원은 향토 고유문화의 계발과 창달을 문화원의 사명으로 새롭게 정립하였다. 1980년대부터 문화원 활동은 향토 문화의 전승과 보존 및 창달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사업을 전개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방 문화원의 역할과 기능은 시대와 문화 환경의 변화로 하나의 사회단체로서의 성격을 벗어나서 그 위상이 많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문화원만을 지원하고 규정하는 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94년 1월 7일 「지방문화원진흥법」이 제정, 공포되었다. 이로써 사단법인 형태의 문화원은 공익법인 형태의 문화원으로 격상됨과 동시에 독립된 문화원법을 갖게 되었다. 그동안 「지방문화사업 조성법 및 동 시행령」에 의하여 설립·운영되던 사단법인 남원문화원이 1994년 7월 7일 자동으로 해산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하여 종전 사단법인 문화원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 공익법인 문화원들이 광주광역시의 각 구에 설립되고 정관이 개정되었다.

[연혁]

1965년 2월 25일, 「지방문화사업 조성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 동구 대의동에서 광주광역시 내의 문화원 법인이 처음 설립되었다. 이는 현존하고 있는 서구문화원의 전신으로, 1994년 9월 23일 문화체육부장관 제252호에 따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으로 설립 변경을 승인받았다. 이후 1995년 6월 광주북구문화원, 1997년 1월 광주동구문화원, 1999년 3월 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이 차례로 설립되었다. 광산문화원의 경우 1965년 2월 25일 개설되었으나, 당시에는 전라남도 광주에 속하지 않았다. 1989년 12월 22일 광산군이 광주직할시에 편입됨에 따라 광산문화원도 광주광역시 문화원으로 속하게 되었다. 한편, 1998년 8월 1일 전국문화원연합회로부터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가 설립을 승인받아, 1999년 4월 28일 광주광역시지회를 개설하였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http://gjccf.kr)
  • 한국문화원연합회(https://kccf.or.kr)
  • 한국민족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784)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https://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5736&pageFlag=&sitePage=1-2-1)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