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968
한자 文化施設
영어공식명칭 Cultural Facilities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환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공공 문화를 누리고 발달시키는 데 필요한 공간 및 시설.

[개설]

광주광역시 관내 문화 시설을 복합 문화 공간, 박물관[미술관·도서관 포함], 5.18민주화운동 관련 시설, 기타 시설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도 문화의 본고장인 광주광역시에서 복합 문화 공간으로는 김대중컨벤션센터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문화예술회관, 광주비엔날레 등이 있으며, 모두 상설 전시 공간과 학습형 문화 체험관을 보유하고 있다. 공간의 성격에 따른 도서와 책자, 간행물이 비치되어 있으며, 전문 문화예술인과의 지속적인 학술 교류와 공연·전시를 기획함으로써 광주광역시의 시민과 관광객, 외국인들에게 광주광역시를 소개하는 대표 문화 시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박물관·미술관·도서관으로는 국립광주박물관을 비롯하여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김치박물관 등이 있다. 관내 5개의 구청에서 관리하는 구역별 작은 도서관을 포함, 총 421개의 공립 도서관과 개인이 운영하는 364개의 사립 도서관을 보유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에만 있는 특별한 것으로 민주화의 상징인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한 문화 시설이 있으며, 여기에는 광주광역시5.18기념문화센터5.18민주화운동기록관, 전일빌딩245 등 세 곳이 있다.

기타 문화 시설로는 국내에서 세 번째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정받은 무등산지질공원과 우치공원, 광주공원, 사직공원, 놀이공원 등의 동물원과 테마파크가 있다. 또한, 무등산과 더불어 시가문화권에 속하는 18만 4948㎡ 면적의 광주호 호수생태원이 있으며, 시민의 숲 안에 여름 물놀이장과 9,000㎡ 면적의 야영장을 개설해 놓음으로써 시민들은 가족 놀이 문화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선조 때인 1603년에 이름 붙여진 사액사당 포충사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등 많은 문화 체육 시설이 운영 중에 있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culture)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