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825
한자 高傅川
영어공식명칭 Go Boocheon
이칭/별칭 군섭(君涉),월봉(月峯)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홍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8년연표보기 - 고부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고부천 진사 입격
활동 시기/일시 1615년 - 고부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19년 - 고부천 병조좌랑(兵曹佐郞)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고부천 서장관(書狀官)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5년 - 고부천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8년 - 고부천 장령(掌令) 임명
몰년 시기/일시 1636년연표보기 - 고부천 사망
성격 문관
성별
본관 장흥(長興)
대표 관직 병조좌랑(兵曹佐郞)|정언(正言)|장령(掌令)

[정의]

조선 전·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병조좌랑, 사간원정언, 장령 등을 지낸 문신.

[가계]

고부천(高傅川)[1578~1636]의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군섭(君涉), 호는 월봉(月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맹영(高孟英), 할아버지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인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이다. 생부(生父)는 고처후(高處厚), 어머니는 이경(李璥)의 딸 함평이씨(咸平李氏)이다. 고부천고경명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사망한 고인후(高因厚)에게 입양되었다. 고부천은 세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채충익(蔡忠益)의 딸 평강채씨(平康蔡氏)로 1609년에 사망하였고, 둘째 부인은 김신(金信)의 딸 광산김씨(光山金氏)로 1618년에 사망하였으며, 셋째 부인은 노선(盧宣)의 딸 풍천노씨(豊川盧氏)이다.

[활동 사항]

고부천은 1578년(선조 11) 광주 지역 압보촌에서 태어났다. 1605년(선조 38) 증광시에서 진사에 입격하였고, 10년이 지난 1615년(광해군 7) 알성시에서 병과 5위로 과거에 급제하여 1619년(광해군 11) 병조좌랑(兵曹佐郞)에 임명됨으로써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듣고는 중부(仲父) 고순후(高循厚)와 함께 근왕을 위한 의병을 일으켜 태인(泰仁)까지 진군하였으나 난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해산하였다.

1627년(인조 5) 후금(後金)이 조선을 칩입한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났을 때는 김장생(金長生) 의병군의 종사관(從事官)으로서 동궁(東宮)을 호위하였다. “성격이 강개하고 절조가 있었으며 매번 나라의 치욕과 집안의 복수를 갚지 못함을 한스럽게 여겼다.”라는 『호남절의록』의 평가처럼 고부천은 강직한 성품을 지닌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장령,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하였으며, 1636년(인조 14)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월봉집(月峯集)』고부천의 시와 산문 등을 모아 1860년(철종 11)에 간행한 문집이다. 고부천 사후에 아들 고회과(高悔過)가 유고를 모으기 시작하였으며 대를 이어 진행되다가 1860년에 고부천의 6세손인 고시좌(高時佐)가 엮어 간행하였다. 전체 9권 1책의 목판본으로, 송내희(宋來熙), 정경순(鄭景淳)의 서문과 유만원(兪晩源), 김학성(金學性) 및 고부천 후손들의 발문이 실려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