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394 |
---|---|
한자 | 花巖洞-堂山祭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지현 |
중단 시기/일시 | 1945년 8월![]() |
---|---|
의례 장소 | 윗당산|아랫당산 -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옛 정촌마을 내![]() |
성격 | 마을 신앙|동제 |
의례 시기/일시 | 정월대보름 |
신당/신체 | 윗당산- 신목|아랫당산- 신목 |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에 있었던 정촌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해 모셨던 마을 제사.
화암동 정촌마을 당산제는 정촌마을에서 8.15광복 이전까지 매년 정월대보름에 지냈다. 정촌마을 당산은 신목(神木)만 남아 있다. 화암동 정촌마을 당산제는 1999년 광주광역시 북구청에서 발간한 『광주북구지리지』에 기록이 남아 있다.
8.15광복 이전까지 지내다가 그 뒤에 사라져 구술로만 전해지고 있다.
윗당산과 아랫당산 두 곳에 있는 신목에서 당산제를 올렸다.
정촌마을의 당산은 윗당산과 아랫당산으로 불렸고, 매년 정월대보름에 마을 사람들이 모여 제관들을 뽑아 당산제를 지냈다. 당산제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이 음복하고, 각 가정에서 가지고 나온 짚 한 단씩으로 꼬아 만든 줄로 마을 사람들끼리 줄다리기를 했다고 한다.
8.15광복 이후 중단된 채 오늘날에도 제를 올리지 않는다. 다만 신목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