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765 |
---|---|
한자 | 光州國樂競唱大會 |
영어공식명칭 | Gwangju Traditional Music Competition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행사/행사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금동|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명진 |
1908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열렸던 최초의 국악 경연대회.
광주국악경창대회는 오늘날 광주광역시에서 열리는 여러 국악 경연대회의 시초가 되었다.
광주국악경창대회는 순종 황제의 즉위 2주년 경축 기념으로 개최되었다. 광주 시내는 경축의 뜻으로 상점 문을 닫았고, 사람들은 행사장인 광주천으로 모여들었는데 광주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에서도 광주국악경창대회를 보기 위하여 구름떼처럼 몰려왔다.
광주국악경창대회는 1908년 광주천의 너른 모래 퇴적지에서 열렸다. 천변 물길 사이의 너른 모래사장이 펼쳐진 곳에서는 5일마다 큰 장터와 작은 장터가 번갈아 열렸고, 광주 지역에 공연장이라는 시설이 갖추어지기 이전까지 광주의 공연 문화는 광주천변 시장에 형성된 가설극장을 중심으로 펼쳐졌다.
그중 작은 장터는 사직공원 인근 현재의 부동교 아래[불로동 소재]에 있었던 모래사장으로 양림동 앞에 있는 벌판이라 하여 ‘양림전평야(楊林前平野)’라고도 불렸는데, 이곳이 바로 국악경창대회가 열린 장소이다. 1920년대 개수 공사로 광주천이 직선화되면서 강폭이 좁아져 장터로 사용하던 모래사장[공연장]은 사라지게 되었다.
오늘날 광주광역시를 대표하는 경연대회로는 판소리 명창 부분에 대통령상을 유치한 ‘임방울국악제’가 있으며, 이외에도 ‘남도국악제’, ‘전국국악경연대회’, ‘광주국악대전’ 등이 있다. ‘남도국악제’와 ‘전국국악경연대회’는 한국국악협회 전라남도지회에서 지금도 주최하여 진행되고 있지만, ‘광주국악대전’은 총 10회까지 추진되다가 ‘임방울국악제’에 합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