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052 |
---|---|
한자 | 懷齋遺集木板 |
영어공식명칭 | Woodblock of Hojae Yoojip.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 42[풍암동 769-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한백 |
제작 시기/일시 | 1799년![]() |
---|---|
제작 시기/일시 | 1847년 - 회재유집목판 부록 제작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6년 3월 19일![]() |
현 소장처 | 벽진서원(碧津書院) -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 42[풍암동 769-1]![]() |
성격 | 목판 |
재질 | 목제 |
크기(높이,길이,너비) | 목판: 54.5㎝[길이]|33㎝[너비]|판면: 34.5㎝[가로]|21㎝[세로]|반곽: 16.5㎝[가로]|21㎝[세로] |
관리자 | 음성박씨 문중 |
문화재 지정 번호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3호 |
광주광역시 벽진서원에 있는 회재 박광옥의 문집인 『회재유집(懷齋遺集)』을 발행하기 위해 만든 조선 후기의 목판.
회재유집목판(懷齋遺集木板)은 박광옥(朴光玉)[1526~1593]의 문집인 『회재유집』을 발행하기 위해 1799년(정조 23) 박광옥의 후손인 박성일(朴性一)이 목판본을 만들었고, 이후 1847년(헌종 13) 부록이 추가되었다.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벽진서원에 있으며, 1996년 3월 19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회재유집목판의 크기는 길이 54.5㎝, 너비 33㎝이며, 판면은 좌우쌍변으로 가로 34.5㎝, 세로 21㎝이다. 반곽은 가로 16.5㎝, 세로 21㎝이고 계선이 있다. 반엽 글씨는 10항 20자이다. 가운데에 하향흑어미(下向黑魚尾)가 있으며 판심제가 있다. 총 69장이며, 마지막 장을 제외한 모든 장이 양면으로 판각되어 있다.
회재유집목판은 총 137면으로 목록 16면, 1권 59면, 2권 10면, 부록 상 20면, 부록 하 22면, 별부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에는 시 299편이 있으며, 2권에는 잡저 2편, 서(序) 2편, 기(記) 1편, 상소 1편이 있다. 부록 상은 연보, 부록 하는 행장(行狀)과 박광옥의 사우 건립 및 시호를 청하는 상소문 등이 있다. 별부(別附)에는 박광옥이 친필로 쓴 시가 들어 있다.
조선 후기 전라도 광주 지역 유학자들의 교우 관계와 조선 중·후기 인쇄술 발달 및 목판 제조 기술을 파악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