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촌동 하대마을 당산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322
한자 大村洞下大-堂山祭
이칭/별칭 대촌동 하대마을 동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대촌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단 시기/일시 1990년 이후 - 대촌동 하대마을 당산제 중단
의례 장소 할머니당산 - 광주광역시 북구 대촌동 하대마을 공동샘 옆지도보기
성격 마을 공동 제사
의례 시기/일시 정월 열나흗날
신당/신체 할머니당산[입석]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대촌동 하대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정월 열나흗날 밤에 모셨던 마을 공동 제사.

[개설]

대촌동 하대마을 당산제는 입석 형태의 할머니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하대마을 사람들이 지냈던 마을 공동 제의로, 정월 열나흗날 밤에 모셨다. 1990년 이후 제를 주관하던 주민이 별세하여 중단되었으며, 1993년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조성으로 마을이 철거되었다.

[연원 및 변천]

하대마을이 속해 있는 대촌동은 말 글대로 큰 동네라는 뜻이다. 대촌을 위와 아래로 나누어 위쪽 마을을 상대, 아래쪽 마을을 하대라고 했다는 설과 부촌[상대]과 민촌[하대]을 나누어 불렀다는 설이 있다. 마을 주민들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는 농촌마을로 성촌 때부터 중단 없이 당산제를 모셨다고 전하나 그에 대한 근거는 없다. 마을 당산제를 주관하던 주민 김용수가 작고한 1990년 이후 당산제를 주도할 사람이 없어 중단되었다. 이후 1993년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조성으로 마을이 철거되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대촌동 하대마을 당산제는 과거 일곱 곳에서 지내왔다고 전하나 구체적인 당산의 위치와 신격을 확인할 수는 없다. 마을 앞 들녘에 느티나무인 할아버지당산과 입석인 할머니당산이 있었으나, 1967년 농지 정리 때에 나무는 베어지고 입석만 옮겼다고 한다. 1990년 중단될 당시에는 할머니당산인 입석만 제의(祭儀)의 대상이었다. 입석은 마을 공동샘 옆에 시멘트로 만든 당집 안에 있었는데, 헌식을 하는 작은 항아리가 함께 놓여 있었다. 하대마을 할머니당산은 특히 아이를 점지하는 것으로 유명하여 아이를 원하는 사람들은 기자치성(祈子致誠)[아들 낳기를 기원하며 정성을 다하여 비는 일]을 드리기도 하였다.

[절차]

대촌동 하대마을 당산제는 정월 초에 마을회의를 열어 화주, 제관, 축관을 각 1명씩 뽑는다. 집에 궂은 일이 없는 정결한 사람 중에 생기복덕(生氣福德)[생기법으로 본 길일과 사람이 태어난 생년월일의 간지를 팔괘로 나누어 가린, 길한 일진의 날]을 맞춰 선정한다. 정월 열사흗날이 되면 마을 길에 금줄을 쳐서 부정을 막고 마을 공동샘을 청소한다. 다음날인 정월 열나흗날에는 아침 일찍 마을 옆 산에서 황토를 파다가 금토를 놓는다. 당산제에 사용되는 비용은 과거에는 인구전으로 거출하였으나 1990년대 무렵에는 마을 재산으로 충당하고 따로 걷지는 않았다.

화주와 그를 돕는 사람들이 비아장으로 가서 닭, 명태, 사과, 배, 대추, 밤, 곶감, 나물 등을 구입해 온다. 제기(祭器)도 매년 새 것으로 구입하여 사용한다. 제물(祭物)을 준비할 때는 소금 외 다른 양념을 사용하지 않으며, 제에 사용되는 술은 화주가 담근다. 당산 제일(祭日)인 정월 열나흗날이 되면 마을 주민들은 비린 것을 먹지 않는 등 부정을 삼가며 당산제를 준비한다. 밤 10시 무렵 '진설→강신→재배→초헌→축원→재배→아헌→재배→축원→종헌→사신→헌식→음복' 순으로 제의(祭儀)가 진행된다. 닭머리와 함께 제물들을 조금씩 싸서 헌식 단지 안에다 넣어 헌식한다. 당산제가 끝나면 농악소리로 이를 알려 각 가정에서 차례를 지낼 수 있게 한다.

[부대 행사]

당산제가 끝난 뒤 정월대보름부터 약 3~5일간 굿을 치며 마당밟이를 하였다. 당산굿을 시작으로 마을 공동샘에 샘굿을 치고 제관집들을 비롯해 온 마을을 다니며 농악을 쳤다. 이때 걷은 경비는 마을 공동기금으로 사용하였다. 2월 초하루에는 주민들이 마을회관에 모여 당산제의 결산과 마을의 공동 관심사를 논의하고 갈무리 값이나 노임 등을 결정하였다. 과거에는 상대마을과 함께 줄다리기를 하기도 하였으나, 1970년대 새마을사업으로 인해 민속놀이는 자취를 감추었고 마당밟이도 시들해졌다.

[현황]

1990년에 마을 당산제를 주관하던 김용수가 작고한 후로는 당산제를 주도할 사람이 없어 제가 중단되었으며, 1993년에는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 조성으로 인하여 마을마저 영원히 사라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