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호남읍지』 「광주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889
한자 湖南邑誌光州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Gwangju in 『Honamupj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바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호남읍지』 「광주지도」 제작
현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 56-1]
원소재지 한국교회사연구소 -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30 평화빌딩 한국교회사연구소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지도
관리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교회사연구소

[정의]

1871년 편찬된 『호남읍지』에 수록된 광주지도.

[개설]

『호남읍지』는 1871년(고종 8) 전국 읍지(邑誌) 상송령(上送令)에 따라 전라도 53읍에서 만들어 올린 읍지를 합하여 편찬한 전라도 읍지이다. 『호남읍지』는 총 10책으로 구성되었는데, 이 가운데 7책에 광주지도와 읍지가 수록되어 있으며, 당시 광주 사회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이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교회사연구소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호남읍지』 「광주지도」는 세로 30.4㎝, 가로 19.9㎝의 채색지도이다. 지도는 책의 2쪽을 할애하여 그려졌고, 양 끝에 「광주지도」 표제와 주변 군·읍과의 거리를 기재해 두었다. 지도는 다소 거친 필치로 그려졌는데, 남쪽을 위로 하여 무등산을 강조하였다. 성내에는 관사(官舍), 객사, 북쪽으로 사창(司倉) 건물군이 묘사되어 있다. 성 밖에는 향교, 사직, 증심사, 공북루, 유림(柳林), 태봉(胎峯) 등이 그려져 있다. 주황색 네모 안에 광주 각 면의 이름을 적었으며, 노란색 네모 안에는 무등산, 서석, 원효암과 같은 산이나 서원, 사찰 이름을 적었다.

[특징]

지도는 광주의 진산인 무등산(無等山)이 있는 동쪽을 위로 향하여 그렸다. 읍치는 정방형의 성벽을 묘사하여 주변에 산지가 없는 거의 완전 평지에 들어서 있다. 광주읍성에는 동서남북으로 네 개의 성문이 표현되어 있다. 객사와 동헌이 마치 북향을 한 것처럼 착각하게 그려져 있는데, 객사는 서향, 동헌은 남향한 것으로 조사된다. 주요 물줄기를 따라 대표적인 인문사회 시설 및 산천이 표현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호남읍지』 「광주지도」 는 다소 거친 필치로 간략하게 표현되어 있으나, 19세기 광주의 주요 산천, 인문지리적 정보를 반영하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kyujanggak.snu.ac.kr)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