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서석유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24
한자 瑞石遊覽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황민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941년 - 『서석유람』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41년연표보기 - 『서석유람』 간행
간행처 삼중인쇄소 - 한성부 종로
성격 시문집
저자 홍종소 외
편자 정인찬
간행자 정인찬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 지역 무등산을 유람하며 쓴 시들을 모아 1941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서석유람(瑞石遊覽)』은 정인찬(鄭寅燦)이 무등산을 유람한 내용을 담은 칠언절구 시들을 당시 문사들에게 요청하여 모은 시집이다. 무등산은 고려 때 서석산(瑞石山)이라고 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서석유람』은 정인찬의 주도로 편찬되었으며, 1941년 경성부 종로[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중인쇄소(三中印刷所)에서 간행되었다.

[서지적 상황]

『서석유람』은 1책 석인본(石印本)으로 서문은 정인찬, 발문은 정만림(鄭萬林)이 썼다.

[구성/내용]

『서석유람』에는 다음과 같은 문사들이 지은 144수의 시가 실려 있다.

홍종소(洪鍾韶), 정재한(鄭在翰), 윤정식(尹廷植), 신현각(申鉉珏), 최봉식(崔奉植), 문계태(文桂泰), 정순봉(鄭淳鳳), 이기열(李基悅), 고광무(高光茂), 박인양(朴麟陽), 한봉희(韓鳳喜), 홍재식(洪在植), 이기영(李基永), 염일석(廉日錫), 박종모(朴鍾模), 김규만(金奎滿), 조병열(曺秉烈), 박중홍(朴重洪), 김우현(金禹鉉), 이영삼(李永三), 최기현(崔璣鉉), 어윤태(魚允泰), 정승현(丁承鉉), 어상기(魚尙基), 박계상(朴戒相), 이계순(李啓淳), 김석휴(金錫休), 정해윤(鄭海輪), 이석환(李錫煥), 정태운(鄭泰云), 홍순응(洪淳應) 등이다. 이들은 모두 서석산 유람을 내용으로 하여 칠언절구의 시로 지었는데, 천(天), 변(邊), 련(連), 연(然)의 동일한 운자를 가지고 있다.

정만림이 쓴 발문에 무등산은 전라남도 광주 지역의 명산으로 최기현(崔璣鉉) 등 여러 동지와 함께 날을 점쳐 무등산을 유람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 지역의 진산(鎭山)인 무등산을 유람하였던 다양한 문사들의 면면과 문사들의 시문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호남한문고전연구실, 『호남지방지 기초목록』(전남대학교 출판부, 2014)
  • 호남지방문헌연구소-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honamcultur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