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매산시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91
한자 梅山詩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92년연표보기 - 『매산시고』 간행
성격 문집
저자 송용만
간행자 송병대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3자

[정의]

전라도 광산 출신의 근대 학자 송용만의 시문집.

[저자]

송용만(宋用萬)[1888~1962]의 자는 현중(賢仲), 호는 매산(梅山)이며 본관은 여산이다. 전라도 광산군 본량면 매동리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송경(宋坰)이고 어머니는 진주강씨 강익상의 딸이다. 청명하고 단정한 기질로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고 경전에 통달하였으며 오계수(吳繼洙)오준선(吳駿善)에게 수학하며 이기의 설에 침잠하였다. 이때 두 선생으로부터 남주가사(南州佳士)라는 칭호를 받게 되었다. 송용만의 묘는 광산군 본량면 선동리에 있다.

[편찬/간행 경위]

『매산시고(梅山詩稿)』는 1992년에 손자 송우대(宋宇大)가 편간사를 쓰고 손자 송병대(宋炳大)가 발행하였다.

[형태/서지]

『매산시고』는 2권 1책의 석인본이다. 행자수는 10행 23자이다.

[구성/내용]

『매산시고』는 권두에 나은균(羅殷均)이 1988년에 쓴 서문이 있고 권1에는 시 134수와 서 2편, 노래 1편이 있다. 권2는 부록으로 족질 송상욱(宋庠旭)이 쓴 행장과 오필선이 쓴 매산기, 그리고 이병학(李秉鶴)이 쓴 묘표가 실려 있다. 권말에 김상순(金商順)이 1983년에 쓴 발문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매산시고』는 전라도 광산에 거주하였던 근대 학자 송용만의 학문과 사상을 엿볼 수 있고 우국의 아픔이나 산수 자연을 시 혹은 부를 통해 노래하였다.

[참고문헌]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