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호은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80
한자 湖隱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11년연표보기 - 『호은유고』 간행
소장처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연희동 25]
성격 시문집
저자 송일현
편자 송정묵
간행자 송근옥
권책 3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7.2×18.2㎝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정의]

조선 후기 전라남도 광산에 거주한 송일현의 시문집.

[저자]

송일현(宋一賢)[1788~1874]의 자는 희성(希聖), 호는 호은(湖隱), 본관은 홍주(洪州)이다. 송수영(宋守永)의 아들로 전라도 광산 석양리에서 출생하였다. 49세 때 홍직필(洪直弼)에게 강학을 요청하였고, 노사 기정진(奇正鎭)과 교유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호은유고(湖隱遺稿)』는 손자 송정묵(宋廷默)이 시문을 수집하고 기우만(奇宇萬)의 서문을 받아 문집을 발간하려다가 이루지 못하였다. 1911년에 증손 송근옥(宋釿玉)이 문집을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호은유고』는 3권 1책의 석인본이다. 전체 크기는 27.2×18.2㎝이며, 사주단변(四周雙邊)으로, 행마다 경계가 있다. 행자수는 10행 20자이며,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호은유고』의 권1에는 심(心), 성(性), 정(情) 등의 오언절구와 「복행귀로효발원평(覆行歸路曉發元坪)」, 「차종대부탄로운(次從大夫歎老云)」 등의 칠언절구, 「호은원운(湖隱原韻)」, 「봉화기노사회갑운(奉和奇蘆沙回甲韻)」 등의 칠언율시가 수록되어 있고, 권2에는 「청이문정공불조소(請李文貞公不祧疎)」 등의 소와 「계자질서(戒子侄書)」, 「상홍매산선생서(上洪梅山先生書)」 등의 서(書), 「호은자서(湖隱自序)」, 「계묘족보서(癸卯族譜序)」 등과 같은 서(序), 행장, 묘갈명과 송흥진이 1911년에 찬한 발과 기우만이 1896년(고종 33)에 찬한 서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호은유고』는 송일현의 학문과 사상을 알 수 있고 노사 기정진과의 교유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library.yonsei.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