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애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56
한자 松厓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81년연표보기 - 『송애유고』 간행
소장처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460[신용동 344-2]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문집
저자 박하형
간행자 박현규|김영선
권책 3권 1책
행자 10행 22자
규격 27.8×19㎝[전체 크기]|20.2×15.2㎝[반곽]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의 근대 학자 박하형의 문집.

[저자]

박하형(朴夏炯)[1891~1971]의 자는 춘엽(春曄), 호는 송애(松厓), 본관은 충주(忠州)이다. 아버지는 박기주(朴琪柱)이다. 광산군 서창면(西倉面) 사동리(寺洞里)[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일대]에서 태어났다.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1846~1916],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善),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에게 수학하였다. 특히 예문사학(禮文史學)과 서예(書藝)가 뛰어났다.

[편찬/간행 경위]

『송애유고(松厓遺稿)』는 조카 박현규(朴賢奎)가 유고를 편집하고 발문을 썼으며, 김영선(金永鮮)이 서문을 작성하여 1981년에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송애유고』는 3권 1책의 석인본이다. 전체 크기는 27.8×19㎝,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半郭)은 20.2×15.2㎝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다. 행자수는 10행 22자로,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송애유고』 권1은 시, 권2는 서(書), 기(記), 발(跋), 사(辭), 상량문(上樑文), 제문, 비(碑), 가장(家狀), 권3은 부록으로 시와 서(書), 발(跋)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송애유고』에는 다수의 시와 글이 실려 있다. 특히 시에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 박산마을 근처의 희우정(喜雨亭), 전라남도 나주시 공산면(公山面)에 있었던 국오정(菊塢亭),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의 송강정(松江亭) 등 누정과 관련된 작품이 많아 눈길을 끈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elibrary.wk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