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계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55
한자 松溪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66년연표보기 - 『송계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문집
저자 박영호
간행자 박제순
권책 3권 1책
행자 10행 22자
규격 27.5×19.8㎝[전체 크기]|19.8×16.2㎝[반곽]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和文魚尾)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 근대 유학자 박영호의 문집.

[저자]

박영호(朴泳鎬)[1858~1931]의 자는 명숙(明淑), 호는 송계(松溪),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아버지는 박정규(朴廷奎)이며 광산 삼도면(三道面) 신정리(新亭里)[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에서 태어났다.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1846~1916]에게 수학하였다. 세상을 개탄하여 뜻이 맞는 친구들과 교유하면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편찬/간행 경위]

『송계유고(松溪遺稿)』는 아들 박제순(朴濟淳)이 정영필(鄭英珌)의 서를 받아 1966년에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송계유고(松溪遺稿)』는 3권 1책의 석인본이다. 전체 크기는 27.5×19.8㎝,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半郭)은 19.8×16.2㎝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다. 행자수는 10행 22자로,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和文魚尾)이다.

[구성/내용]

『송계유고』는 권1에는 「정야청계(靜夜聽溪)」 2수를 포함한 약 180여 수의 시가 실려 있고, 권2에는 서(書), 기(記), 서(序), 행장(行狀), 문(文), 잡저(雜著), 설(設)이 실려 있다. 권3에는 부록, 발(跋)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송계유고』는 비교적 최근의 문집으로 유실된 글이 적다. 때문에 다량의 시와 여러 종류의 글이 실려 있어 당대의 문학상과 시대상을 추적하기에 용이하여 그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