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789
한자 敎育
영어공식명칭 Educatio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환

[정의]

광주광역시 지역 교육의 현대사와 현황.

[개설]

예향이자 가사문화권의 산실인 광주광역시의 교육 발전사와 최근 교육통계에 관한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광복 이후

광복 당시 우리나라의 교육은 통치기구의 부재로 인해 미군정의 교육담당자 임명 전까지 행정이 마비되었던 반면, 다른 시나 군처럼 학무과가 관장하던 광주 지역의 교육행정은 그 기능이 일제강점기와 거의 다름없이 작동되고 있었으며, 시내에 15개 초등학교와 9개 중등학교, 3개 유치원 및 초등과정 사설교습소 5곳, 중등과정 사설 교습소 1곳이 운영 중이었다. 학제는 6·3·3·4제의 단선형으로 교육심의회의 결정 사항을 따라 현재까지 계승하고 있다.

2. 1950~1960년대

한국전쟁 이후 1952년 광주시 의회에서 10인의 교육위원을 선출하고 김동수가 초대 교육감으로 교육 업무를 관장하였다. 광주시는 1962년 교육위원회를 해산하고 교육과를 신설하여 5명의 교육위원을 선출하였다. 그리고 교육자치제가 1964년 부활함에 따라 의무교육 시행과 교육의 민주적인 지방분권이 강조됨으로써 광주시교육청을 발족하여 교육장을 임명, 교육위원들의 헌신으로 교육 재정비와 운영이 이루어졌다. 광주시의 최초의 특수학교는 전남세광원[현 세광학교]으로 1954년에 개원하였고, 1960년에 전남농아학교가 설립되었다.

3. 1970~1980년대

입시제도 개선이 특징인 1970년도 광주시교육청은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생활화' 및 '유신 교육체제 확립'과 '새마을 교육의 심화'를 통한 '참다운 새 한국인' 양성을 위한 개척정신[개인], 협동정신[사회], 국민정신[국가]을 강조한 시책을 발표하였다. 당시 고교 입시제도 개선책으로 고교 평준화가 추진되었고 서울, 대구, 부산, 인천과 함께 광주의 평준화는 100%에 가까웠다. 1980년도 광주시교육청은 행정적 신뢰와 교육 발전 방침으로 '맑은 품성과 밝은 슬기 가꾸자'를 구호로 삼았다. 1986년 광주직할시로 승격 후, 전라남도교육위원회에서 분리되어 광주직할시교육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이때 광산군과 송정시가 광주직할시에 편입되어 동부교육청과 서부교육청이 증설되었고, 동일 학교법인에 초중고교가 개교하는 ‘학원의 맘모스화’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 시기에 광주직할시는 170여 유치원, 80여 초등학교, 53개 중학교 및 52개 고등학교에 재학생 30만 4000명을 보유한 교육도시로 성장하게 된다. 공립특수학교인 광주선명학교와 지적장애아를 위한 학교인 은혜학교광주선광학교가 각각 1978년, 1983년, 1986년 차례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광주 지역의 사회교육은 직할시 승격 시까지 초보 단계에 머물러 있었으며, 1970년대 국가사업인 새마을운동 아래 처음 진행되었고, 1976년에 교육의 시기를 놓친 청소년과 성인을 위해 방송통신고등학교가 광주제일고등학교, 광주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에, 1980년에 광주여자고등학교에 부설되었다. 1982년부터 전남대학교광주교육대학교, 순천대학교, 목포대학교 등이 방송통신대학의 협력기관으로 지정되었다.

4. 1990년대

1990년도는 학사들이 전문대학으로 진학하는 교육 역류 현상이 일어났다. 1993년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은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 광주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호남신학교, 초등교원 양성기관인 광주교육대학교와 사제를 양성하는 특수 고등교육기관인 광주가톨릭대학교, 그리고 8개의 전문대학이 88개 학과를 보유하였다. 1990년도 이후에는 광주광역시내 초중등 특수학급을 일선 학교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5. 현황[2000년 이후]

2003년 광주광역시교육정보원이 신설되었고, 2011년 학교현장지원중심의 조직 개편이 단행되었으며, 2014년 시행규칙 일부를 개정하여 학교안전생활과를 민주인권생활교육과로 개칭하였다. 최근 학교폭력에 관한 심각성을 염두에 두고 2020년 광주광역시 동부교육지원청과 서부교육지원청에 학교폭력심의팀을 별도로 신설하였다.

2011년부터 고등학교의 유형은 일반고, 특수목적고[과학고, 외국어고, 예고, 체육고, 국제고,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인 마이스터고, 영재학교], 특성화고[직업교육 특성화고, 대안교육 특성화고], 그리고 자율고[자율형 사립고, 자율형 공립고]로 구분한다.

2020년도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개황은 대학원 이하 대학과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방송통신대학, 기술대학, 각종대학, 원격 및 사이버대학, 시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으로 분류되며, 중등교육기관은 고등학교, 방통고, 산업체부설고, 고등기술학교, 중학교, 방통중, 산업체부설중, 고등공민학교와 중등교육기관에 준하는 각종학교와 산업체특별학급으로 구분한다. 초등교육기관은 초등학교와 공민학교, 그리고 중등교육기관과 마찬가지로 초등교육기관에 준하는 각종학교가 있으며 초중등교육을 담당하는 특수학교와 취학전교육을 담당하는 유치원이 있다.

유치원은 2016년에 321개로 가장 많았다가 2020년 조사에서 298개로 23개가 폐원하여 2007-2008년 금융위기 이후 늦어지고 하락한 출산율을 반영하였다.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는 꾸준히 늘어 2000년도에 각각 109개, 70개, 58개 학교에서 2020년도에 각각 151개, 91개, 68개[11개 특성화고, 49개 일반고, 3개 자율고, 5개 특수학교] 학교로 증가하였으나, 학생 수는 학교 수 증가와는 반대로 초등학생은 20년간 40,401명이 줄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각각 15,368명과 23,115명이 감소하였다. 2000년에 3,830명이었던 초등교원은 가장 급격히 증원되어 2020년 6,046이 근무중이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원은 2000년에 각각 2,622명과 3,506명에서 2020년 3,728명과 4,108명으로 증원되었다. 2000년에 758명이었던 유치원 교사는 2020년 1,963명으로 늘어났다. 2020년 기준 이 교육기관들은 교사 4,029,940㎡와 운동장 1,948,803㎡에 교수학습공간 1,025,137㎡와 학습지원공간 863,125㎡를 확보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사회교육 통계 현황은 2019년도 초등졸업학력 검정고시에 169명이 지원하여 76.3%가 합격하였고, 중등졸업학력 검정고시에는 449명이 지원하여 77.3%가 합격하였으며, 고등졸업학력 검정고시에는 2,274명이 응시하여 지원자의 60.4%가 통과하였다. 특수학교 개황을 살펴보면 3개 공립학교와 2개 사립학교에서 1,017명의 학생을 수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