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136
한자 平生敎育
영어공식명칭 Lifelong Education
이칭/별칭 생애교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태준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진행하는 시민 누구나 생애에 걸쳐 삶의 전 영역에서 관심과 적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참여하는 계속 학습.

[개설]

생애에 걸쳐 계속 학습이 요구되는 '평생학습 시대'에 살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생애주기 증가, 4차산업혁명이 불러온 산업 환경의 변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두드러진 접촉 방식의 전환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변화하는 일상에 적응하고 자신의 삶을 온전히 꾸려 가기 위한 동력과 기술을 평생학습에서 찾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평생교육의 영역은 크게 학력 보완, 성인 기초 문자 해득, 직업 능력 향상, 인문교양 습득, 문화예술 이해, 시민참여로 구분된다. 이는 평생교육이 지식과 기술 습득에 있어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있다.

광주평생교육진흥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평생학습 사업 유형을 살펴보면, 광주광역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평생학습의 대략적인 방향과 윤곽을 그려 볼 수 있다. 사업은 크게 장애인 평생학습, 성인문해교육, 시민대학 특화교육, 평생학습형 일자리, 평생학습마을 운영, 자치구 교육 사각지대 평생학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장애인 평생교육'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학력 보완, 문자해득, 직업능력 향상, 인문교양, 문화예술, 시민참여, 자립생활교육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 활동이다. 장애 유형, 생애주기에 맞춰 구성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장애를 가진 광주 시민들의 자존감 회복과 자립을 돕고 있다.

'성인문해교육'은 크게 문해교육교사 양성과 비문해자 교육으로 구분되며, 비문해자들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생활문해 및 디지털문해를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춰 진행한다.

'시민대학 특화교육'은 시민학·인문학·광주학·공동체·미래학 등 지역에 특화된 주제와 영역을 중심으로 광주 시민들의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평생학습형 일자리'는 평생학습을 통해 지식과 재능, 역량을 개발해 사회·문화·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역사회 기반의 사회적 일자리를 만드는 데 목표를 둔다. 시민교육 나눔강사, 평생학습 상담사, 폭력예방교육강사, 전래전통놀이지도사, 방과후학교 독서논술부 강사, 미술심리상담사 등 지식 습득과 일자리 창출을 연계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다.

'평생학습마을 운영'은 생활의 기반에 되는 마을에서 주민 스스로 자원을 활용하여 평생학습을 운영하고, 마을 내 어린이와 어른 모두 함께 배우고 공유하며, 서로 성장하는 마을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평생학습마을 운영을 통해 주민이 직접 주도하는 평생학습문화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자치구 교육 사각지대 평생학습'은 평생학습에 접근이 어려워 사각지대에 놓인 교육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이다. 장애 성인, 저학력 성인, 결혼 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 지역별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특화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참고문헌]
  • 광주평생교육진흥원(https://www.gie.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