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813
한자 靑少年相談所
영어공식명칭 Youth Counseling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내영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보호 및 지원하기 위한 상담 기관 및 시설.

[개설]

광주광역시의 청소년상담소는 「청소년복지지원법」에 의거해 청소년과 부모에 대한 상담·복지 지원, 상담·복지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청소년 상담 또는 긴급 구조를 위한 전화 운영, 그리고 청소년 폭력·학대 등으로 피해를 입은 청소년의 긴급 구조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법률 및 의료 지원, 일시 보호 지원, 청소년의 자립 능력 향상을 위한 자활(自活) 및 재활(再活) 지원,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過依存) 예방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역할 및 업무]

청소년상담소의 역할은 위기 청소년들에 대한 상담을 통해 청소년들을 보호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Help Call 청소년전화 1388’ 운영을 통해 위기 상황 및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익명성, 접근 용이성 등의 전화 상담의 특성을 바탕으로 필요한 도움을 즉각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센터 내방 및 전화로 상담이 불가능한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통해 상담을 신청하면 즉시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이버 상담를 운용하고 있으며,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 및 가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일대일 대면 상담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청소년 개인의 특성이나 호소하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심리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성격·진로·정신건강·학습·지능 등을 진단함으로써 청소년 및 일반 성인들이 자기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는 업무도 진행하고 있다.

[안전망 구축]

청소년 안전망(CYS-NET)은 지역사회 내의 활용 가능한 자원을 적절히 연계해서 위기에 처한 청소년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한 통합 지원 네트워크로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쉼터, 청소년활동진흥센터, 청소년 관련 시설에 접수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다. 청소년 안전망 구축은 광주광역시의 공공기관, 학교 지원, 의료·보호·복지·상담, 진로·취업 지원 등의 서비스에 특화된 시설·단체·기관과 광주광역시의 약국·학원·PC방·택시·교사·대학생·지역상인 등의 자발적인 참여로 구성된 1388 청소년지원단이 함께 청소년의 사회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활동을 펼치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들은 1388 청소년전화를 통해 다급한 위기 해결 및 심리상담까지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청소년 보호자 또는 지도자 등은 이 전화를 통해 청소년 유해 환경 신고, 정보 제공, 전문가와의 상담 등을 할 수 있다. 1388 청소년전화는 전국적으로 24시간 운영되고 있다. 1388 청소년전화는 상담 접수 후 평가를 통해 일반 상담, 위기 상담, 자치단체·검찰·경찰 등 관계 기관에 신고 또는 협조 등으로 분류하여 상담을 진행, 처리한다.

[청소년 동반자 프로그램]

청소년 동반자 프로그램은 청소년 상담 분야에 자격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가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위기 또는 위기 가능 청소년]이 있는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 일대일의 관계를 맺고, 정서적 지지, 심리상담 제공, 지역 자원 연계 등을 모색하는 청소년 지원 서비스이다. 도움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에게 직접 찾아가 상담을 진행하는 상담 지원, 지속적인 만남을 통한 정서적 지지, 청소년의 욕구와 필요에 맞는 프로그램 연계 지원, 청소년에게 도움이 되는 자원을 발굴하여 관련 기관과 연계시키는 서비스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의료·취업 등의 문제 해결을 도울 수 있도록 자원을 연계하고, 부모·가족·교사 등 청소년을 지지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현황]

광주광역시의 청소년에 대한 상담은 여성가족부 지원으로 설립된 광주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5개 구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 5개 구의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청소년쉼터, 청소년자립지원관 등의 청소년 복지시설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한국청소년인권센터가 운영하는 광주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1990년 2월 처음 개원되었으며, 2012년에는 광주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남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한국청소년인권센터에서 운영하는 북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꿈틀]가 문을 열었다. 이후 청소년가족복지상담협회가 운영하는 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광주YMCA가 운영하는 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인재육성아카데미가 운영하는 광산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순차적으로 개원하여 광주광역시 청소년들의 바른 성장과 안전망을 구축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http://www.gsg1388.or.kr)
  • 광주광역시 남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http://www.1388namgu.or.kr)
  • 광주광역시 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http://www.dg1388.com)
  • 광주광역시 북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http://www.ok1388.kr)
  • 광주광역시 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http://happy1388.com)
  • 광주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http://www.gj1388.or.kr)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https://www.kyci.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