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793
한자 靑少年福祉
영어공식명칭 Youth Welfare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내영

[정의]

광주광역시의 청소년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고 조화롭게 성장·발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회적·경제적 지원.

[개설]

「청소년기본법」에 따르면, 청소년은 9세에서 24세 사이의 사람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흔히 ‘청소년’이라 하면 만 13세에서 만 18세 사이의 사람을 칭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간단하게 ‘학생’이라는 말로 대신하기도 한다. 학년으로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라 할 수 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청소년 기본법」에 따라 청소년에 대한 육성과 지원에 관련하여 책임을 정하고 청소년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보호, 청소년 활동을 보장하며, 청소년 단체에 대한 지원, 청소년 시설 설치 등의 복지를 지원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청소년 복지 서비스]

광주광역시에서는 중앙 부처의 복지 지원과 함께 청소년과 그 가족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청소년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청소년 복지 대상으로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인 청소년, 법정 차상위계층의 청소년,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지원 대상자인 청소년 등이 해당된다. 광주광역시에서는 2002년 1월 1일에서 2009년 12월 31일에 출생한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생리대를 구입할 수 있는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포인트를 지원하고,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자원봉사자가 한 가정당 연 720시간의 장애아 돌보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아가족 양육지원도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 발달장애 학생 방과후 활동 서비스, 위기 청소년에게 찾아가는 상담인 청소년 동반자 프로그램 운영, 청소년 체험 활동·기초학습 등을 지원하는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으며, 청소년 어울림 마당, 동아리 활동도 광주광역시 청소년활동진흥센터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청소년 복지 시설 현황]

광주광역시에서는 청소년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복지 서비스를 청소년쉼터, 수련시설, 상담소, 청소년센터 등의 청소년복지시설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청소년쉼터는 가족 내 갈등·폭력·방임·빈곤 등으로 인해 가정의 기능을 상실한 청소년이나, 학교 부적응·청소년 개인 및 또래·사회적 원인 등으로 인해 가출한 청소년들에게 일시 및 중·장기에 그들을 위기상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설이다. 또한, 전문적 개입을 통해 위기 청소년과 가족을 돕고 청소년 비행 예방을 돕는 시설로서 광주광역시 남자 단기 및 중·장기 청소년쉼터, 여자 단기 및 중·장기 청소년쉼터[맥지청소년사회교육원], 청소년일시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수련 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각종 청소년 시설 및 설비를 갖춘 각 5개 구의 수련관, 광주광역시 청소년수련원, 화정청소년문화의집 등이 있다. 또한, 치유 및 위탁시설로 '광주학생마음보듬센터', '금란교실', '돈보스코학교', '용연학교', '팜푸리성장학교'가 있으며, 여성가족부와 광주광역시의 지원으로 청소년안전망의 허브 기관인 각 5개구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광주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청소년 상담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 정책과 활동을 지원하는 '광주광역시 청소년활동진흥센터', 학교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 청소년들이 미래를 설계하고 꿈을 키울 수 있는 청소년의 공간으로 광주광역시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이 있다.

그밖에 광주광역시는 2011년에 전국 최초로 「학교 밖 청소년의 보호 및 교육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를 설치하여, 다양한 이유로 제도권 학교에 있지 않지만 배움을 그만두지 않는 청소년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로는 광주광역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와 각 5개 구의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상담·교육·취업·자립을 돕고 있으며, 대안학교 지원과 학교 밖 청소년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학교 밖 청소년 네트워크에서는 도시형 대안학교로 '교육공간 오름', '늘품', '래미학교', '지혜학교', '무진일움학당', '별별학교', '청소년공간 날다', '행복학교36.5', 'Y해밀학교', '화월주성장학교다온'과 목공, 카페 등의 청소년 작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전남대학교광주YMCA, 하자센터[서울청소년직업 체험센터]와 협력하여, 시립 청소년 특화 시설인 '청소년 삶디자인센터'를 돕고 있다. 이곳은 창의적인 정신으로 자신의 삶을 새롭게 만들어가는 디자인 역량을 키우는 공간으로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진로 프로그램을 개발·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 「2020년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현황」(광주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1)
  • 「2020년 광주광역시 시민사회단체편람」(광주광역시, 2021)
  • 광주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http://www.gjwelfare.or.kr)
  • 광주아이키움(https://www.광주아이키움.kr)
  • 광주광역시청소년활동진흥센터(http://www.gjcenter.net)
  • 광주광역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http://www.flyyouth.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