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68
한자 傳統市場
영어공식명칭 Traditional Marke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전통 방식으로 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

[유래와 변천]

광주 지역의 전래 시장은 대소 2개소로 나누어졌고, 대시장은 광주교 하류 하반(河畔)에 있었으며 '구력 2'의 날에 3회 개시하였다. 소시장은 부동정 외 하반에 있었고 '구력 7'의 날에 3회 개시하였다. 소시장은 그 이름과 같이 작은 장이었고, 대시장은 큰 장으로 규모가 컸으며 광주군 제일의 대시장이었다.

광주광역시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은 양2동 5번지에 위치한 양동시장으로 설립 인가된 것은 1940년 4월 10일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언제부터 개시하였는지 명확하지 않고, 그 이후 계림시장이 1958년, 대인시장이 1959년에 개시되었다. 1966년 광주시의 시장 분포 현황을 보면, 도매시장이 2곳, 상설시장이 5곳, 격일시장이 2곳이었으나, 1977년에는 정기시장은 사라지고 상설시장 14곳이 개설되었다. 1982년이 되면서 정기시장이 3곳, 상설시장이 23곳으로 증가되었고 1990년 초까지 상설시장만 완만한 추세로 증가 현상을 보일 뿐이었다.

1991년 7월 1일 개정된 「도소매업진흥법」에 의한 시장은 정기시장, 상설시장, 대형점, 대규모소매점, 그리고 도매센터 등으로 구분되는데, 1992년 말 광주직할시에서는 총 36개의 시장이 있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구분하면, 정기시장[5일시장] 2개소, 상설시장 29개소, 백화점 5개소가 있었으며, 상설시장 중 지하상가가 2개소 운영되고 있었다. 1992년도의 시장 변동 상황을 보면, 재래시장 근대화로 인한 4개소와 기준 미달로 인한 자진 폐업으로 5개소가 감소되고 신흥 주택단지에 1개소가 개설되었으며, 시장권역별 배치를 위하여 도시개발지역에 3개소의 시장이 건립되었다.

[현황]

2021년 기준 광주광역시의 전통시장 현황을 보면 총 17개의 전통시장이 대표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동구 3개, 서구 2개, 남구 2개, 북구 4개, 광산구 6개가 조성되어 있다. 광산구의 경우는 아직도 농촌 지역이 많아 다른 지역보다 전통시장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구에는 대인시장, 남광주시장, 산수시장이 있고, 서구에는 양동시장, 화정동서부시장이 있으며, 남구에는 무등시장, 봉선시장이 있다. 그리고 북구에는 두암시장, 운암시장, 말바우시장, 동부시장이 있고, 광산구에는 송정매일시장, 송정5일시장, 비아5일시장, 1913송정역시장, 월곡시장, 우산매일시장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