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23
한자 市場
영어공식명칭 Marke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재화 및 서비스가 도매와 소매의 형태로 거래되는 장소.

[개설]

시장은 직접 생산하거나 혹은 다른 곳에서 구입한 재화 및 서비스를 교환 및 소비하는 장소이다. 행정 당국의 감독을 받는 공적 시장과 달리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상거래 행위를 할 수 있는 사적 시장의 등장이 현재 시장의 전신이며, 교환 및 소비가 발생하는 빈도에 따라 정기 시장과 상설 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현황]

2019년 현재 광주광역시 전통시장의 수는 24개로 전국 전통시장 비율에서 1.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타 도시 대비 상당히 낮은 수치이다. 대표적으로 광주광역시 번화가에 자리하여 문화와 예술이 접목된 대인시장, 남광주역에 자리한 수산물 특화시장인 남광주시장, 전라도권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양동시장, 상가건물형 시장인 화정동서부시장, 전통과 명성이 깊은 정기시장인 말바우시장, 백년의 역사를 지닌 1913송정시장이 있다. 그 외에도 월곡시장, 상무시장, 무등시장, 우암시장, 봉선시장, 우산매일시장, 송정매일시장, 송정5일시장, 비아5일시장,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 각화농산물도매시장, 수산물직판매시장 등이 있다.

2019년 24개의 전통시장을 상권 크기로 구분하면 광역 상권은 5개, 지역 상권은 9개, 그리고 근린 상권은 10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국 상권 규모의 시장은 없다. 크기별로 구분하면 중형시장 10개, 소형시장 14개로 대형시장과 중대형시장으로 분류 가능한 크기의 시장은 없다. 2019년 광주광역시에 있는 시장의 점포 수는 2,905개로, 영업 점포는 2,696개이며, 빈 점포는 182개, 기타 점포는 27개가 있다. 총 상인의 수는 4,957명으로, 점포상인은 2,696명, 종업원은 1,476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노점상인은 785명이다.

[참고문헌]
  • 「2020년 광주통계연보」(광주광역시, 2021)
  • 광주광역시(https://www.gwangju.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