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주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766
한자 光州郡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노성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895년연표보기 - 광주군 제정
폐지 시기/일시 1935년연표보기 - 광주군 폐지

[정의]

1895년부터 1935년까지 광주광역시의 옛 행정 구역.

[형성 및 변천]

갑오개혁 초기에 지방제도의 개혁 방침이 세워지고, 1895년(고종 32) 5월에 23부제를 반포하였다. 종래의 전국을 8도로 나누던 것을 폐기하고, 부(府)·목(牧)·군(郡)·현(縣)을 군으로 단일화하여 총 337군을 23부 밑에 나누어 두었다. 전라도에는 전주부·남원부·나주부·제주부가 설치되었고, 광주 지역은 광주군(光州郡)이 되어 나주부에 속하였다. 1896년(고종 33) 광무개혁 때 23부제가 13도제로 다시 정비되었는데, 광주 지역은 나주부 광주군에서 전라남도 광주군으로 바뀌었을 뿐 위상에는 변화가 없었다.

1895년(고종 32) 나주부에 속한 광주군은 성내면, 공수방면, 부동방면, 기례방면, 지한면, 석저면, 상대곡면, 하대곡면, 우치면, 갑마보면, 석제면, 삼소지면, 천곡면, 마지면, 거치면, 흑석면, 와곡면, 소고룡면, 우산면, 고내상면, 소지면, 동각면, 마곡면, 선도면, 당부면, 방하동면, 대지면, 계촌면, 칠석면, 유등곡면, 덕산면, 내정면, 황계면, 군분면, 서양면, 두방면, 오치면, 도천면, 효우동면, 갈전면, 대치면 등 41개 면을 관할하였다. 이후 1913년 각 면의 면사무소 연합을 실행하여 20개 면사무소로 통합한 후 1914년에는 광주면, 지한면, 석곡면, 우치면, 본촌면, 비아면, 하남면, 임곡면, 송정면, 동곡면, 서창면, 대촌면, 극락면, 서방면, 효천면 등 15개 면으로 통합되었다.

1931년 4월 1일 광주면광주읍으로 승격하고, 1935년 4월 1일 서방면·지한면·효천면·극락면의 각 일부가 광주읍에 편입되었다. 1935년 10월 1일 광주읍광주부(光州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광주군을 광산군으로 개칭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