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호남동의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763
한자 湖南同義團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손영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08년 8월연표보기 - 호남동의단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09년 3월연표보기 - 호남동의단 해체
성격 호남의병 연합 부대
설립자 전해산

[정의]

1908년부터 1909년까지 광주 지역을 비롯한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의병 부대 연합체.

[개설]

호남동의단(湖南同義團)은 1908년 일제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11개의 호남의병 부대들이 연합한 부대다.

[설립 목적]

1907년 9월 전해산(全海山)은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 유생, 농민, 산포수[사냥꾼] 등을 규합하여 대동창의단(大東倡義團)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일본은 헌병을 증강하는 등 의병 탄압을 강화했다. 이에 1908년 전해산은 일제의 침략을 저지할 것을 호소하며 심남일(沈南一), 김영엽(金永曄), 오성술(吳聖述) 등과 함께 11개의 호남의병 부대들이 참여한 호남동의단을 결성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호남동의단은 연합 전선을 형성하여 전라도 지역을 누비며 일본군과 교전을 펼치는 등 상당한 전과를 거두었다. 이는 전기와 중기 의병 당시 공동 전선을 형성하지 못하고 분산적으로 활동한 것에 대한 경험에서 나온 반성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일본에 동조하는 친일 부호, 조선인 헌병보조원, 경찰 등을 처단하며 항일 정신을 고취시켰다.

[의의와 평가]

호남동의단은 전라도에서 활동하던 대표적인 의병부대가 모두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