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오월로 가는 길」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117
한자 五月-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청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956년 - 김사인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985년연표보기 - 「오월로 가는 길」 발표
편찬|간행 시기/일시 1985년 - 「오월로 가는 길」 80년대 민족시인 신작선 2집 『밤꽃 피는 유월에』에 수록
성격
작가 김사인

[정의]

5.18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쓴 김사인의 시.

[개설]

「오월로 가는 길」을 지은 김사인(金思寅)[1956~]은 충청북도 보은에서 태어났다. 1982년 동인지 『시와경제』를 통하여 등단하였으며, 이후 광주의 오월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시화해 왔다. 「오월로 가는 길」은 강한 페이소스(Pathos)를 불러 일으키는 구절들로 이루어진 시이다. 5.18광주민주화운동 중 희생된 사람들, 그 "원통한 죽음들"을 "목청 터지게" 부르며 "정한 피 다시 흘려야겠다"고 말하는 부분에서 읽을 수 있듯이, 추모의 성격을 가진 시라고 할 수 있다. 1985년 지양사에서 출간한 '80년대 민족시인 신작선 2집' 『밤꽃 피는 유월에』에 발표되었다.

[구성]

「오월로 가는 길」은 1연 12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1980년 5월 광주에서 일어난 5.18광주민주화운동은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상 전무후무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대낮에 정부의 이름으로 시민들을 학살했다는 점에서도 그렇고, 공수부대로 이루어진 정예 군인들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고 전투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이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한때는 도시 바깥으로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그뿐만 아니라 열흘간 시민만의 자치를 이뤄냄으로써 상상에서만 가능했던 이상적인 사회상을 실제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광주의 오월은 그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영광의 뒤편에는 부당한 권력의 무자비한 폭력에 일방적으로 희생당한 사람들과, 부당한 권력을 두려워하기보다 공동체를 지키고 더 나아가 유린당한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맞서 싸우다가 희생된 사람들이 있다. 김사인은 시를 통해 그렇게 떠난 "원통한 죽음들 하나씩 이름 불러야 되겠다"고 되뇌며 그들이 간 길을 함께 갈 것을 촉구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