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지남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98
한자 芝南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67년연표보기 - 『지남집』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이지호
권책 11권 1책
행자 10행 21자
규격 31.6×20.5㎝[전체 크기]|23.0×16.6㎝[반곽]
어미 내향삼엽화문어미(內向三葉花紋魚尾)

[정의]

전라도 광산 출신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지호의 시문집.

[저자]

이지호(李贄鎬)[1836~1892]는 조선 후기의 학자로, 자는 동현(東賢) 호는 지남(芝南)이다. 전라도 광산에서 출생하였으며, 서양 오랑캐에 대응하여 자주적인 사상을 내세운 존왕양이론(尊王攘夷論)의 대표 인물로 꼽힌다.

[편찬/간행 경위]

『지남집(芝南集)』은 1967년에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지남집』은 11권 1책의 목활자본이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전체 크기는 31.6×20.5㎝, 반곽은 23.0×16.6㎝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다. 행자수는 10행 21자이며, 어미는 내향삼엽화문어미(內向三葉花紋魚尾)이다. 전남대학교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지남집』은 10권에 부록 1권을 합한 총 11권 2책으로 되어 있으며, 1909년(순종 2)에 아들 이승우가 간행하였다. 권1에는 100여 수의 시, 권2에는 서(書), 권3에는 기, 권4에 서(序), 권5에 발, 권6에 문, 권7에 행장, 권8에 묘갈명, 권9에 사실, 권10에 잡저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별권 부록에는 행장, 묘지명, 묘갈명, 사실(事實), 전, 찬, 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부록에 수록된 제문은 정의림을 비롯한 여러 인물의 제문이 총 22편 수록되어 있다. 서(書) 중에는 최익현(崔益鉉), 한계원(韓啓源) 등에게 답한 글과 정의림·기우만 등에게 안부를 묻는 글이 수록되어 있다. 기에는 「청심당선생부조묘유지기(淸心堂先生不祧墓遺址記)」 등 각종 유적지에 대한 기행문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은 정의림(鄭義林)이 썼으며, 발문은 윤자현(尹滋鉉)과 정시림(鄭時林)이 각각 작성하였다.

[의의와 평가]

『지남집』은 조선 후기 활동하였던 이지호의 학문과 사상을 엿볼 수 있으며, 최익현·기우만 등과의 교유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고문헌종합목록(https://www.nl.go.kr/korcis)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