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서암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93
한자 瑞菴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93년연표보기 - 『서암유고』 간행
성격 시문집
저자 최기량
권책 2권 1책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의 근대 유학자 최기량의 시문집.

[저자]

최기량(崔基亮)[1878~1943]의 자는 인수(夤修), 호는 서암(瑞庵) 또는 산사(山史), 본관은 경주이다. 아버지는 최경환(崔瓊煥), 어머니는 나주임씨 정묵(政默)의 딸이다. 전라도 광주군 유등곡면 광곡리(光谷里)에서 출생하였고, 송사 기우만현와 고광선(高光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두문불출하면서 후학을 양성하였고 1943년에 세상을 떠났다. 대촌면 광곡리 안산(案山)에 안장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서암유고(瑞菴遺稿)』는 1993년에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서암유고』는 2권 1책이다.

[구성/내용]

『서암유고』 권두에 1974년 홍석희(洪錫憙)가 쓴 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300여 편의 시와 만시가 있고, 이어 송사 기우만 선생에게 올린 편지를 비롯하여 17편의 서(書), 4편의 서(序), 2편의 통문, 2편의 제문, 축문 1편 등이 실려 있다. 권2에는 부록으로 「서암기」 1편과 만사 15편, 제문, 행록, 행장, 묘갈명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말에는 1993년에 중헌 윤정복(尹丁복)이 쓴 발문이 실려 있다. 시는 형식에 따라 오절·오율·칠절·칠율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300여 편의 시 중에서 33편만 제외하고 모두 칠언율시이다.

[의의와 평가]

『서암유고』는 최기량의 우수한 시적 능력을 엿볼 수 있고, 그중에서도 칠언율시에서 두각을 드러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