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춘강음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90
한자 春岡唫草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55년연표보기 - 『춘강음초』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간행처 춘강정사 - 전라남도 장성
성격 시문집
저자 김영태
편자 김영태
권책 1책
행자 11행 26자
규격 27.9×19.1㎝[전체 크기]|19.7×14.0㎝[반곽]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정의]

전라도 광산 출신 근대 학자 김영태의 시문집.

[저자]

김영태(金永台)[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의 호는 춘강(春岡)이며, 광산 사람이다. 아들 김종수(金鍾洙)가 쓴 발에 “김영태의 나이가 연로해도 기력이 강녕하고 정신이 다하지 않아 매일 동산에서 소요하며 손님이 오면 대작하고 시를 읊었다”라고 되어 있다. 김영태의 나이는 1965년을 기준하여 90세로 추정된다. 생전에 문집이 간행되어 서문과 발문에서 보이는 개인의 행적은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다.

[편찬/간행 경위]

『춘강음초(春岡唫草)』는 변동엽(邊東燁), 김준식(金俊植), 김현술의 서문과 자서, 아들 김종수(金鍾洙)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1955년에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춘강음초』는 1책으로 되어 있는 석인본이다. 94장이고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전체 크기는 27.9×19.0㎝, 반곽은 19.7×14.0㎝이며, 행마다 경계가 있다. 행자수는 11행 26자이며,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춘강음초』는 시는 「자은시오수(自隱詩五首)」, 「상원석(上元夕)」, 「모춘(暮春)」, 「금강산(金剛山)」, 「쌍계루(雙溪樓)」, 「여우송별(與友送別)」 등 293편이 수록되어 있고, 부록에는 「춘강기(春岡記)」, 「춘강자은(春岡自隱)」, 「제가화운(諸家和韻)」 등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춘강음초』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활동하였던 김영태의 우수한 시작(詩作) 능력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