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청강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89
한자 暒岡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68년연표보기 - 『청강유고』 간행
소장처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연희동 25]
성격 시문집
저자 김조
권책 10권 5책
행자 12행 24자
규격 28.3×19.0㎝[전체 크기]|20.4×15.3㎝[반곽]
어미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

[정의]

전라도 광산 출신 근대 학자 김조의 시문집.

[저자]

김조(金晁)[1880~1948]의 자는 경주(暻宙), 본관은 광산이다. 아버지는 김봉언(金鳳彦)이고 어머니는 밀양박씨 박병기(朴炳起)의 딸이다. 1880년(고종 17)에 광산 두암리(斗巖里)에서 출생하였다. 간재 전우(田愚)와 글로 성리학을 논하기도 하였다. 1948년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편찬/간행 경위]

『청강유고(暒岡遺稿)』는 1968년에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청강유고』는 10권 5책의 석인본이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전체 크기는 28.3×19.0㎝, 반곽은 20.4×15.3㎝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다. 행자수는 12행 24자이며, 어미는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이다.

[구성/내용]

『청강유고』 권1은 잡저, 권2는 서(書) 37편, 권3은 서(書) 54편, 권4는 서(序) 22편, 기 32편, 권5는 기, 권6은 제발·찬·제·애사·행장·행록, 권7은 전·비·묘표·묘지·묘갈, 권8은 부·계·시, 권9는 「청강십언(暒岡十言)」[서(序)·학도(學道)·양친(養親)·거상(居喪)·봉제(奉祭)·교붕(交朋)·사군(事君)·리관(涖官)·위정(爲政)·강무(講武)·권농(勸農)], 권10은 「향산별록(香山別錄)」과 부록으로 되어 있다. 권8에 수록된 시 중에는 「애국(愛菊)」, 「자경면제생(自驚勉諸生)」, 「증이미중(贈李美中)」, 「거산잡영용당인운(居山雜詠用唐人韻)」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청강유고』는 다양한 문체의 작품을 접할 수 있으며, 권2와 권3에 수록된 여러 편의 서(書)를 통해 김조의 교유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library.yonsei.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