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낭옹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83
한자 浪翁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86년연표보기 - 『낭옹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소장처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연희동 25]
성격 문집
저자 김현
편자 한국고문연구회
간행자 전라남도
권책 1권 1책
행자 10행 20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현의 문집.

[저자]

김현(金晛)[1606~1683]의 자는 명원(明遠), 호는 낭옹(浪翁)이다. 문정공 김태현(金台鉉)[1261~1330]의 11대손으로, 김시주(金時柱)와 강화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624년(인조 9)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관력은 없다. 전라도 장성 구화산 안동리(安東里)에서 초당을 짓고 은거하면서 많은 시문을 지었다. 양성이씨 영계(榮繼)의 딸 사이에서 4남을 두었고 1683년(숙종 9)에 장성 삼서면(森西面) 소룡리(小龍里)에서 7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낭옹유고(浪翁遺稿)』는 1904년(고종 41)에 문집 간행을 추진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필사본으로 전하던 것을 1986년에 전라남도 향토문화연구자료 제1집으로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낭옹유고』는 1권 1책의 필초영인본이다. 규격은 국배판, 분량은 229쪽, 사주단변이고, 행자수는 10행 20자이다.

[구성/내용]

『낭옹유고』에는 문(文)이 17편 수록되어 있다. 「전원잡기(田園雜記)」, 「매노와기(梅老窩記)」 등은 진사시에 합격한 후 전라도 장성 삼서면 안동의 농장에서 송(松), 죽(竹), 매(梅), 상(桑), 칠목(漆木) 등 각종 과실과 약초 등을 재배하며 관상할 때 쓴 것이다. 후학을 교육할 때 경계하는 말로 쓴 「서당학도걸정서(書堂學徒乞鼎書)」, 「증학도서(贈學徒書)」 등도 있다. 시는 546수이다. 오언절구 85수, 오언장편 3수, 칠언절구 457수, 칠언사운 1수 등으로, 대부분 자연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낭옹유고』는 전원생활 중에 지은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 향토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library.yonsei.ac.kr)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