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죽헌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73
한자 竹軒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70년연표보기 - 『죽헌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문집
저자 이춘복
편자 이희원
간행자 이희원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8.1×18.8㎝[전체 크기]|20.7×14.1㎝[반곽]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정의]

전라도 광주 지역 출신의 근대 학자인 이춘복의 문집.

[저자]

이춘복(李春馥)[1889~1957]은 목은 이색(李穡)의 후손으로 1889년(고종 26)에 광산 본량 선동(仙洞)[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동]에서 출생하였다. 자는 명부(明夫), 호는 죽헌(竹軒),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석촌 기충현(奇忠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57년 69세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편찬/간행 경위]

『죽헌유고(竹軒遺稿)』는 이춘복의 아들 이희원(李熙遠)이 1970년에 편집·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죽헌유고』는 2권 1책의 석인본이다. 전체 크기는 28.1×18.8㎝이고 반곽은 20.7×14.1㎝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고 10행 20자이다.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전남대학교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죽헌유고』는 시·축문·행장·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는 최병덕(崔炳德)이 썼고, 발은 이태로(李泰魯)와 아들 이기원(李起遠)이 썼다. 시는 37수가 실려 있고 제문은 2편, 행장 2편이 있다. 부록은 죽헌차운·죽헌기·만사·제문·가장·행장·묘표·죽헌서·문인록 등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죽헌유고』는 한말 유학자 이춘복의 사상과 학문을 엿볼 수 있고, 시문을 감상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elibrary.wku.ac.kr)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