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신재유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60
한자 新齋遺集
이칭/별칭 신재유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86년연표보기 - 『신재유집』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문집
저자 박종언
편자 한국고문연구회
간행자 전라남도
권책 1권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 박종언의 문집.

[저자]

박종언(朴宗彦)[1716~1783]의 호는 신재(新齋), 음성인(陰城人)이다.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의 종7대손이자, 아버지는 박만정(朴萬挺), 어머니는 영월신씨(寧越辛氏)이다. 광산군 서창면 태곡리[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에서 태어났다. 참봉(參奉) 고한원(高漢元), 도곡(陶谷) 이양원(李養元)[1708~1764]에게 수학하였다. 39세에 문과에 급제,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삼도찰방(三道察訪) 등을 지냈다.

[편찬/간행 경위]

『신재유집(新齋遺集)』은 후손 김성우(金性愚)가 유고를 모았으나 간행하지 못하였으며, 일부는 유실되었다. 1986년에 한국고문연구회가 편집하여 전라남도 향토문화연구자료 제7집으로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신재유집』은 국배판 194쪽의 양장본이다.

[구성/내용]

『신재유집』의 권1은 시 130수, 전표(箋表) 4편, 제문(祭文) 4편, 전표(箋表) 4편, 상량문(上樑文) 1편, 소계(疏啓) 9편, 작(科作) 4편, 발(跋) 등으로, 권2는 부록이며 만시(輓詩), 제문(祭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신재유집』의 저자 박종언의 문장은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1724~1802]가 “용용첨창 배운불군 가견부고지부(舂容贍暢 排韻不窘 可見府庫之富)”라고 평하였을 정도로 수준이 높았다. 이에 『신재유집』은 당시 지식인의 학문 수준과 문장을 연구하는 데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