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소은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53
한자 素隱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08년연표보기 - 『소은집』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운중동 490-8]
소장처 고려대학교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로22길 6-7[안암동5가 126-16]
성격 문집
저자 박중회
간행자 박원규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5.8×18.3㎝[전체 크기]|21.5×16㎝[반곽]
어미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 박중회의 문집.

[저자]

박중회(朴重繪)[1664~1691]의 자는 수여(受汝), 호는 소은(素隱), 본관은 평양(平陽)이다. 아버지는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이다. 전라도 광주에서 태어난 박중회는 어려서부터 용모와 재주가 출중하였는데,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그의 영특함을 칭찬하였다. 26세 때 스승 송시열이 사약을 받고 죽자 과거 응시를 단념하고 고향에서 경서를 연구하고 제자 양성에 힘썼다.

[편찬/간행 경위]

『소은집(素隱集)』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1798~1879]이 박광후의 유문과 합하여 편찬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다가, 후손 박원규(朴元圭)가 1908년(순종 1)에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소은집』은 2권 1책의 목활자본이다. 전체 크기는 25.8×18.3㎝,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半郭)은 21.5×16㎝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다. 10행 20자로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려대학교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소은집』은 2권 1책으로 되어 있으며, 권1은 「근차우암선생운(謹次尤庵先生韻)」 등의 시와 서(書), 전라남도 담양군의 원림인 소쇄원에 관한 「소쇄원기(瀟灑園記)」, 문, 잡저(雜著), 권2는 속편 부록(續編附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소은집』을 통하여 문재(文才)와 학문의 이해가 깊었던 박중회의 학문적 소양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권1에 수록된 「소쇄원기(瀟灑園記)」는 한국의 대표 원림인 소쇄원에 관련한 기록으로 그 의의가 있다. 이외에도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글들은 당대의 시대상과 감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어 그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고려대학교도서관(https://library.korea.ac.kr)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db.snu.ac.kr)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https://jsg.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