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서헌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51
한자 瑞軒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서헌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문집
저자 안규용
간행자 전라남도
권책 5권 2책
행자 10행 23자
규격 24×16.5㎝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의 근대 유학자 안규용의 문집.

[저자]

안규용(安圭容)[1860~1910]의 자는 공삼(公三), 호는 서헌(瑞軒)이다. 아버지는 안국환(安國煥)이며 광주 봉곡마을[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에서 태어났다.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1846~1916]에게 수학하였으며, 일신(日新) 정의림(鄭義林)[1845~1910), 주목(州牧) 이희성(李羲性) 등과 교유하였다. 1555년(명종 10) 왜구가 전라남도 강진·진도 일대에 침입해 약탈과 노략질한 을묘왜변(乙卯倭變) 후에 기우만과 의병을 일으켰으며, 일본에 맞서 광주향교를 지켰다. 광주향교 동쪽 언덕에 안규용의 의적비가 있다.

[편찬/간행 경위]

『서헌유고(瑞軒遺稿)』는 증손자 안병도(安秉度)가 여러 차례 간행을 시도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1989년에 전라남도 향토문화연구자료 제28집으로 영인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서헌유고』는 5권 2책의 필사 영인 양장본이다. 전체 크기는 24×16.5㎝이다. 행에 경계가 없고, 행자수는 10행 23자이다.

[구성/내용]

『서헌유고』의 권1에는 「서헌원운(瑞軒原韻)」, 「春日偶成(춘일우성)」 등의 시가 실려 있고, 권2에는 「상송사기선생이십일답서십팔(上松沙奇先生二十一答書十八)」, 「답박순여로면부답(答朴純汝魯冕附答)」 등의 서(書)가 실려 있다. 권3에는 「송이군순필풍호소서(送李君舜弼豊鎬小序)」 등의 문(文)이 실려 있고, 권4에는 「신묘십일월왕배송사선생(辛卯十一月往拜松沙先生)」 등의 일기가 실려 있고, 권5는 부록으로,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제문 등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서헌유고』는 의병 활동으로 나라를 지켰고 학자로 향교를 지켰던 안규용의 의기뿐만 아니라 학문에 대한 자세 등을 엿볼 수 있어 그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