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초등학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971
한자 初等學校
영어공식명칭 Element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송

[정의]

광주광역시에 설립되어 초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기관.

[개설]

2021년 기준, 광주광역시의 초등학교를 3개의 설립 유형과 5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폐교된 초등학교의 현주소와 운영 중인 초등학교의 현황을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설립 유형별 초등학교

광주광역시의 국립초등학교로는 광주교육대학교광주부설초등학교가 유일하다.

공립초등학교는 152개교로, 각화초등학교, 건국초등학교, 경양초등학교, 계수초등학교, 고실초등학교, 광림초등학교, 광주계림초등학교, 광주광천초등학교, 광주극락초등학교, 광주남초등학교, 광주농성초등학교, 광주대성초등학교, 광주동산초등학교, 광주동운초등학교, 광주동초등학교, 광주동초등학교충효분교장, 광주문화초등학교, 광주방림초등학교, 광주백운초등학교, 광주봉주초등학교, 광주북초등학교, 광주산수초등학교, 광주상무초등학교, 광주서림초등학교, 광주서산초등학교, 광주서석초등학교, 광주서초등학교, 광주수창초등학교, 광주양동초등학교, 광주양산초등학교, 광주용봉초등학교, 광주용산초등학교, 광주우산초등학교, 광주운암초등학교, 광주월산초등학교, 광주장원초등학교, 광주제석초등학교, 광주중앙초등학교, 광주중흥초등학교, 광주지산초등학교, 광주풍향초등학교, 광주학강초등학교, 광주학운초등학교, 광주화정초등학교, 광주효덕초등학교, 광주효동초등학교, 금구초등학교, 금당초등학교, 금부초등학교, 금호초등학교, 대반초등학교, 대자초등학교, 대촌중앙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동곡초등학교, 동림초등학교, 두암초등학교, 마재초등학교, 마지초등학교, 만호초등학교, 매곡초등학교, 목련초등학교, 무등초등학교, 무학초등학교, 문산초등학교, 문우초등학교, 문정초등학교, 문흥중앙초등학교, 문흥초등학교, 미산초등학교, 본량초등학교, 본촌초등학교, 봉산초등학교, 봉선초등학교, 불로초등학교, 비아초등학교, 빛고을초등학교, 빛여울초등학교, 산월초등학교, 산정초등학교, 삼각초등학교, 삼도초등학교, 삼정초등학교, 새별초등학교, 서광초등학교, 서일초등학교, 선운초등학교, 선창초등학교, 성덕초등학교, 성진초등학교, 송우초등학교, 송정동초등학교, 송정서초등학교, 송정중앙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송학초등학교, 수문초등학교, 수완초등학교, 신가초등학교, 신암초등학교, 신용초등학교, 신창초등학교, 양지초등학교, 어등초등학교, 어룡초등학교, 연제초등학교, 염주초등학교, 영천초등학교, 오정초등학교, 오치초등학교, 용두초등학교, 용주초등학교, 운남초등학교, 운리초등학교, 운천초등학교, 월계초등학교, 월곡초등학교, 월봉초등학교, 유덕초등학교, 유안초등학교, 유촌초등학교, 율곡초등학교, 은빛초등학교, 일곡초등학교, 일동초등학교, 일신초등학교, 임곡초등학교, 장덕초등학교, 장산초등학교, 정암초등학교, 조봉초등학교, 주월초등학교, 지한초등학교, 진남초등학교, 진만초등학교, 진월초등학교, 진제초등학교, 첨단초등학교, 치평초등학교, 큰별초등학교, 태봉초등학교, 평동초등학교, 풍암초등학교, 풍영초등학교, 하남중앙초등학교, 하남초등학교, 하백초등학교, 한울초등학교, 화개초등학교, 화정남초등학교, 효광초등학교, 효천초등학교가 있다.

사립학교는 3개교로, 광주삼육초등학교, 광주송원초등학교, 살레시오초등학교 등이 있다.

2. 권역별 초등학교

광주광역시에는 동구에 11개 학교, 서구에 30개 학교, 남구에 23개 학교, 북구에 47개 학교, 그리고 광산구에 45개 학교 등 모두 156개 초등학교가 있다.

3. 폐교 초등학교

일제강점기 이후 현대 광주광역시 관내 폐교 혹은 흡수 통합된 초등학교는 공립 14개교로, 본량동초등학교[1968년 7월 16일 개교]가 1993년 2월 28일에, 광주청풍초등학교[1964년 12월 7일 개교]가 1994년 2월 28일에, 광주주암초등학교[1958년 4월 1일 개교]가 1994년 2월 28일에, 송정북초등학교[1974년 3월 11일 개교]가 1994년 2월 28일에, 임곡남초등학교[1939년 5월 27일 개교]가 1995년 3월 1일에, 본량서초등학교[1941년 6월 13일 개교]가 1995년 3월 1일에, 삼도서초등학교[1968년 7월 16일 개교]가 1995년 3월 1일에, 하남북초등학교[1957년 5월 19일 개교]가 1995년 3월 1일에, 송정남초등학교[1967년 3월 4일 개교]가 1997년 3월 1일에, 평동서초등학교[1959년 3월 20일 개교]가 1998년 9월 1일에, 비아남초등학교[1937년 5월 27일 개교]가 1998년 3월 1일에, 삼도남초등학교[1937년 6월 10일 개교]가 1998년 9월 1일에, 대촌동초등학교[1924년 5월 23일 개교]가 2002년 2월 8일에, 광주북초등학교[1935년 4월 27일 개교]가 2004년 2월 28일에 각각 폐교되었으며, 순서대로 이후 본량초등학교, 광주동초등학교, 광주지산초등학교, 송정중앙초등학교, 임곡초등학교, 삼도초등학교, 하남초등학교, 송정동초등학교, 평동초등학교, 큰별초등학교, 삼도초등학교, 대촌중앙초등학교, 광주지산초등학교에서 각각 학적부를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교육청(http://www.ge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