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804
한자 東岡大學校
영어공식명칭 Donggang University
이칭/별칭 동강대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50[두암동 887-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76년 3월 25일연표보기 - 광주동신실업전문학교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90년 11월 13일연표보기 - 광주동신실업전문학교에서 동신전문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8년 5월 1일연표보기 - 동신전문대학에서 동강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1년연표보기 - 동강대학에서 동강대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0년 12월 9일 - 동강대학교 고용노동부 주관 2020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지원사업 기초혁신과제 최우수 평가[S등급]
최초 설립지 광주동신실업전문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50[두암동 887-2]
현 소재지 동강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50[두암동 887-2]지도보기
성격 사립전문대학교
설립자 이장우[학교법인 후성학원]
전화 062-520-2114
홈페이지 동강대학교(https://www.dkc.ac.kr)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동강대학교의 교육 목표는 '도전 정신과 창의적 능력을 갖춘 실무형 인재, 한국형 마이스터 양성'에 있다. 교훈은 '창조, 근면, 검소'이다.

[변천]

1975년 1월 학교법인 후성학원을 인가받아 1976년 3월 25일 광주동신실업전문학교로 개교하였다. 1990년 11월 13일 동신전문대학으로 개명하였고, 1998년 5월 1일 동강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1월 30일 동강대학 학장을 총장으로 개정하고, 2011년 「고등교육법」에 따라 동강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9년 3월 창의융합형 미래 직업인 양성을 위한 혁신지원사업 선포식을 하였다. 2017년 8월 1일 제14대 이민숙 총장이 취임하였다. 2021년 2월 19일 제44회 학위수여식에서 1,153명[전문학사 922명, 학사 23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동강대학교는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과 산학협력 및 전공 직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직업 기초 교육에 중점을 두며, 인성 함양과 창의성 계발 활동을 지원한다. 특히 4차 산업 시대와 광주광역시의 AI 중심 도시 프로젝트에 부합하는 친환경 AI 기반 e-모빌리티 부문 인력 양성에 관심을 두고, AI를 활용한 HTHT(High Touch High Tech)에도 참여하여 탄력적인 학과 운영을 추진한다. 2021년 광주·전남 전문대의 원격 교육의 허브로서 비대면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은상/작곡 김동진]는 다음과 같다.

[1절] 무진주 전통의 옛터 미덥다 문화의 중심/ 여기는 학문의 동산 지식과 덕을 쌓는 곳/ 보람찬 배달의 아들 자라는 보금자리여/ 오 너 슬기의 샘터 오래거라 동강대학교/ 오 너 슬기의 샘터 오래거라 동강대학교

[2절] 가슴엔 늘 푸른 이상 희망이 꽃피는 걸음과 힘/ 엉키고 뭉쳐 나라의 큰 기둥 되라/ 새 역사 꾸며갈 일꾼[딸들] 명랑한 모습들이여/ 오 너 진리의 등대 빛나거라 동강대학교/ 오 너 진리의 등대 빛나거라 동강대학교

2. 교목: 향나무이다.

3. 교화: 철쭉이다.

4. 교색: 청색이다.

[현황]

동강대학교는 2021년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취업률은 69.1%이고, 전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36.5명이다. 재학생은 2,984명[남 1,639명, 여 1,345명]이며, 전임 교원은 253명[남133명, 여 120명]이 근무하고 있다. 부속 기관으로 도서관, 동강생활관, 동강스포츠센터, 국제교류원, 건강증진센터, 마음건강센터, 권일보호센터 등이 있다. 부설 기관으로는 유치원, 응급의료교육센터 등이 있고, 부설 연구소로 식품건강연구소를 두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