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미술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421
한자 美術館
영어공식명칭 Museum of Art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홍범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예술 작품을 보존 및 전시하고, 지역의 예술과 미술 양식 등을 교육하는 시설.

[미술관이란 무엇인가?]

14~16세기 유럽에서 미술관 개념의 시작점으로 보이는 공간인 갤러리아(Galleria), 캐비넷(Gabinetto)이 출현하였다. 갤러리아는 회화와 조각을 위한 전시 공간을 의미하고, 캐비넷은 박제동물, 희귀 물품, 식물, 작은 골동품 등으로 채워진 수집 공간을 의미한다. 르네상스의 갤러리아(Galleria)를 현대의 미술관과 갤러리로 이해한다면, 캐비넷은 박물관의 공간 역할의 분화로 이해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추후 탈역사, 탈맥락적 감상을 유도하는 유미적 미술관, 공간을 초월하는 디지털 미술관 등 미술관의 면면에 철학적 한계점을 돌파 혹은 실험하고자 하는 미술관이 등장한다.

[광주광역시의 미술관]

현대 광주광역시의 미술관은 지역의 생활양식 문화, 문화예술 등의 보존, 전시, 교육을 시행하는 시설 및 기관으로 통상 이해된다. 미술관은 현재 공공기관으로서의 미술관은 영리를 목적으로 작품을 매매할 수 없으며, 열린 공간으로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생산적 공간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박물관과 분과적 기능에 대한 분할이 있으나 지향하는 바는 공통된다. 작품이 전시되는 공간을 '미술관'으로 정의할지, 공공기관이나 시민들로 인하여 건립된 공간에 전시 역할이 있는 곳을 미술관으로 지칭할지 여부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광주광역시 미술관의 흐름]

광주광역시 미술사에서 1950년 최초의 추상미술전[시인 ‘강용운 추상작품전’]을 연 '광주미문화원'은광주 최초의 근대미술양식의 전시 공간이다. 또한, 1978년 12월 6일에 개관한 ‘국립광주박물관’은 광복 이후 우리 손으로 지은 최초의 지방 국립박물관으로, 광주·전남 지역의 전통문화를 널리 알린 대표적 사례이다.

이후 근대성 개념에 유래되는 '미술관'을 넘어 광주광역시만의 지역 미술관을 지향하는 새로운 문화를 생산하는 문화기관들로 미술관과 전시관, 재단, 예술회관 등이 기능하고 있다. 1992년 국내 공립미술관 최초로 설립된 '광주시립미술관'은 1995년 광주비엔날레 조직 기초에 이바지하였으며, 시민에게 다양한 문화 체험를 제공하기 위한 기획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서북쪽 관문인 중외공원 내에 2007년 신축하여 이전한 현재의 광주시립미술관광주비엔날레,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함께 지역 미술문화 발전은 물론, 세계 주요 미술관들과 국제교류의 폭을 넓혀 나가고 있다.

2011년에는 '광주문화재단'이 설립되어 광주광역시민의 문화 향유 및 감성적·정서적 역량의 확장 기회를 마련하고, 문화예술 진흥 정책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광주광역시 내에서 의재미술관, 우제길미술관, 예술의 거리에 있는 미술관, 소촌아트팩토리 등이 문화 생산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참고문헌]
  • 『세계미술용어사전』(월간미술, 1999)
  • 에른스트 H. 곰브리치 저, 백승길 외 1명 옮김, 『서양 미술사』(예경, 2003)
  • 무등역사연구회, 『광주·전남의 역사』(태학사, 2004)
  •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국학자료원, 2006)
  • 강미정 외 28인, 『현대의 예술과 미학』(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채운, 『재현이란 무엇인가』(그린비, 2009)
  • 광주시립미술관(https://artmuse.gwangju.go.kr/co/contentsView.php?pageID=artmuse0104010000)
  • 광주문화재단(http://www.gjcf.or.kr/cf/intro/history.do)
  • 시민의소리(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75617)
  •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 표준데이터(https://www.data.go.kr/data/15017323/standard.do)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