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796
한자 老人福祉
영어공식명칭 Elderly Welfare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내영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심신의 건강 유지, 병환의 예방 및 요양, 생활 안정을 지원하는 복지 정책.

[개설]

광주광역시의 노인 복지 정책은 행복한 노후생활 보장, 노인 복지 시설 확충, 여가문화 지원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광주광역시청의 고령사회정책과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다. 주요 업무로는 안정된 노후생활의 보장을 위한 노인 일자리 사업 추진과 사회 참여의 확대, 기초연금 지원, 노인 장기요양 서비스 및 노인돌봄 서비스 지원, 복지 사각지대의 최소화, 노인 학대 예방 및 인권 보호 등이 있다. 또한, 고령 친화적 도시 환경의 안정적 구축을 위해 빛고을·효령 노인타운 운영 지원, 경로당의 기능 보강, 노인 여가문화의 활성화로 행복하고 건강한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노인에 대한 복지 서비스는 크게 일정 소득 이하의 만 65세 이상 노인에게 지급하는 기초연금, 급식을 제공하는 사랑의 식당 운영, 노인 건강 진단 및 재가복지 서비스,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여가활동 지원,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장기요양보험제도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현황]

노인 복지 시설은 크게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위하여 각종 노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인 양로원·노인 공동생활 가정 등의 노인 주거 복지 시설, 요양원·노인 전문 병원 등의 노인 의료 복지 시설, 경로당·노인교실 등의 노인 여가 복지 시설, 주야간 보호·방문 목욕 등을 제공하는 재가[가정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노인] 노인 복지 시설로 나눌 수 있다.

[노인주거 복지시설]

노인 주거 복지 시설로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과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양로 시설과 노인들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 여건과 급식,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노인 공동생활 가정이 있다. 2020년 기준 광주광역시의 양로 시설로는 국가의 지원을 받는 동구이일성로원, 서구동명회에서 운영하는 벧엘타운, 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에서 운영하는 광산구의 성심의 집 3곳이 있다.

[노인의료 복지시설]

노인 의료 복지 시설에는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요양과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노인 요양 시설과, 같은 사유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 여건과 급식·요양,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노인 요양 공동생활 가정이 있다. 2020년 기준 광주광역시에 노인 요양 시설은 동구 8개소, 서구 16개소, 남구 14개소, 북구 19개소, 광산구 22개소 등 총 79개소 있으며, 노인 요양 공동생활 가정은 광산구 3개소, 북구 11개소, 남구 1개소, 동구의 2개소 등 총 17개소가 있다.

[노인여가 복지시설]

노인 여가 복지 시설로 노인복지관은 노인의 교양·취미 생활 및 사회 참여 활동 등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과 소득 보장·재가 복지, 그 밖에 노인의 복지 증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동구 1개소, 서구 1개소, 남구 3개소, 북구 2개소, 광산구 2개소 등 총 9개소가 있다. 또한, 지역 노인들이 자율적으로 친목 도모·취미 활동·공동 작업장 운영 및 각종 정보 교환과 기타 여가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경로당은 동구 111개소, 서구 234개소, 남구 235개소, 북구 373개소, 광산구 374개소 등 1,327개소가 있다. 그리고 노인들에 대하여 사회 활동 참여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전한 취미 생활·노인 건강 유지·소득 보장, 기타 일상생활과 관련한 학습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노인교실이 동구 6개소, 서구 9개소, 남구 5개소, 북구 20개소, 광산구 4개소 등 44개소가 있다[2020년 기준].

[재가노인 복지시설]

재가 노인 복지 시설에는 방문 요양 서비스, 주야간 보호 서비스, 단기 보호 서비스, 방문 목욕 서비스가 있다. 방문 요양 서비스는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에게 필요한 각종 편의를 제공하여 지역사회 안에서 건전하고 안정된 노후를 영위하도록 돕는 서비스이다. 주야간 보호 서비스는 부득이한 사유로 가족의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심신이 허약한 노인과 장애 노인을 주간 또는 야간 동안 보호 시설에 입소시켜 필요한 각종 편의를 제공하고, 이들의 생활 안정과 그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서비스이다. 그리고 부득이한 사유로 일시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노인과 장애 노인을 보호 시설에 단기간 입소시켜 보호하는 단기 보호 서비스와 목욕 장비를 갖추고 재가노인을 방문하여 목욕을 제공하는 방문 목욕 서비스가 있다.

광주광역시의 재가 노인 복지 시설은 동구에 동구노인복지센터, 아가페실버센터 등 10개소, 서구에 서구노인복지센터, 효자주간보호센터 등 21개소, 남구에 광주공원노인복지센터, 데레사노인복지센터 등 31개소, 북구에 복지애숲협동조합, 우린동네노인재가복지센터 등 31개소, 광산구에 경애재가노인복지센터, 광주효광노인복지센터 등 49개소가 있다. 그 밖에 학대받는 노인들의 발견과 상담·보호를 위한 노인 보호 전문 시설로는 광주광역시노인보호전문기관이 있으며, 노인 일자리 지원 기관으로 각 5개 구의 시니어클럽이 있다[2020년 기준].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 사회복지편람: 2007년도』(광주광역시 사회복지협의회, 2006)
  • 「광주광역시 2020 노인의료복지시설(요양시설) 현황」(광주광역시, 2021)
  • 「광주광역시 2020 노인주거복지시설(요양시설) 현황」(광주광역시, 2021)
  • 「광주광역시 2020 재가노인복지시설 현황」(광주광역시, 2021)
  • 「광주광역시 2020 노인여가복지시설(복지관) 현황」(광주광역시, 2021)
  • 광주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http://www.gjwelfare.or.kr)
  • 광주광역시 북구청(https://bukgu.gwangju.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