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807
영어공식명칭 Senior Club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내영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노인의 생애 경험 및 지식을 활용하는 노인 일자리 지원 기관 및 단체.

[개설]

시니어클럽은 2001년 보건복지부 장관 지정으로, 노인에게 적합한 다양한 사회 활동을 개발하고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고령 사회에 발 맞춰 지역 사회 노인들이 경제·사회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즉, 일하는 노인들의 밝고 건강한 노후를 정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운영 대상 단체는 지역 사회 복지 또는 노인 일자리, 사회 활동 지원 사업의 경험이 있고 사업 수행 능력이 있는 사회복지법인 등의 비영리법인이나 단체들이며, 이들의 신청을 받아 사업 예정 주사무소를 관할하는 기초지방자치단체 해당과가 심사하여 선정한다. 광주광역시에는 2001년 노인 일자리 전담 기관으로 지역사회시니어클럽 시범사업 5개소가 설치된 이후로, 2020년 7월 기준 전국의 시니어클럽은 총 176개소가 있다. 광주광역시에는 5개 자치구인 서구, 북구, 동구, 남구, 광산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2021년 「광주광역시 노인일자리 창출 지원 조례」를 제정해 노인 일자리 창출과 보급을 뒷받침하고 있다.

[활동 형태]

광주광역시 시니어클럽의 주요 업무 및 역할은 지역 노인 일자리 지원 기관으로서 기능 및 역할 수행, 지역 특성에 적합한 공익 활동, 사회 서비스형·시장형 사업단 사업 수행, 지역 사회 내의 노인 인력 활용을 위한 교육 훈련 및 사후 관리, 일하는 노인을 위한 지역 연대 및 기타 관련 사업 등의 수행이다.

광주광역시 시니어클럽은 지역 공동체의 보호와 안전을 위한 노인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활동들을 펼치고 있는데, 공익 활동은 노인의 자기 만족과 성취감 향상 및 지역 사회 공익 증진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봉사활동 형태의 활동이다. 공익 활동에는 취약 노인 가정을 방문하여 일상 생활의 안정적 유지를 돕는 '노노케어', 노인을 제외한 장애인·다문화가정·한부모가족 아동 등에 대한 상담 및 정서적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취약계층 지원, 공공시설 봉사,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하는 경륜 전수 활동 등이 있다. 시장형 사업단의 활동은 노인에게 적합한 업종 중 소규모 매장 및 전문직종 사업단 등을 공동으로 운영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활동으로서 택배, 소규모 매장 운영, 공산품 제작·판매, 식품 제조·판매 등이 있다. 시장형 사업단의 활동에는 수요처의 요구에 의해 일정 교육을 수료하거나 관련된 업무 능력이 있는 자를 해당 수요처로 연계하는 일자리 제공의 취업 서비스형 활동이 있다. 그리고 보육 및 청소년·한부모·다문화 가족·장애인·노인 시설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장애인 활동에 대한 보조·시니어 안전 모니터링 등을 수행하는 사회 서비스형 활동이 있다. 광주광역시 시니어클럽의 노인 일자리 제공은 주로 공익형과 시장형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고 있다.

[주요 사업]

광주광역시 시니어클럽의 주요 사업으로는 공익형, 시장형, 사회 서비스형의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광주광역시 시니어클럽의 공익형[공익활동] 사업으로는 서구의 감염 방역 관리 모니터링, 공공시설 지원 관리, 교통안전 지킴이, 메트로실버 도우미, 밝은 공원 만들기, 서구 알리미, 안전 서구 만들기, 유치원 지원 관리, 재활용 자원 관리, 초등학교 급식 도우미, 친환경 마을 만들기, 학교 안전 지킴이 활동 등이 있다. 북구에는 사회복지시설 파견, 빛고을 깔끔 정류장, 초등학교 급식 도우미 지원, 숲생태해설가, 손주 사랑[구연동화, 인형극으로 유치원 지원사업], 짚풀공예 사업, 공공시설 파견, 우리 학교 보안관, 꾸러기 놀이대장[어린이 놀이터에서 전래놀이 전수 및 안전 지킴이], 등산로 지킴이, 빛고을 실버 크리에이터[지역 및 노인 일자리 홍보사업] 등이 있다. 동구에는 공공기관 실버 도우미, 공영주차장 관리 지원, 노노케어, 노인요양시설 도우미, 놀이터 수호천사, 도시텃밭 관리 지원, 불법 촬영 카메라 점검, 지역사회 연계 지원[지역아동센터, 어린이집, 등의 파견] 등이 있다. 남구에는 보육시설 도우미, 지역아동센터 연계 지원, 공원환경 정비, 공영주차장 관리, 스쿨존 교통안전, 빛고을 질서 지킴 활동 등이 있다. 광산구의 공익 활동으로는 스쿨존 교통 지원, 초등학교 급식 도우미, 가정 어린이 급식, CCTV 관제 사업, 재래시장 환경 지킴이, 거동 불편 노인 돌봄 지원이 등이 대표적인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광주광역시 시니어클럽의 시장형 사업으로는 서구의 도시공사 원룸 관리, 마을자원관리사, 보행자 통행 안전 시니어 서비스맨, 빛고을 빛나라, 실버 안심 택배, 우리동네 낭만구구, 추억의 상추튀김, 커피박스, 할매손맛 반찬, 할매 손맛 팥죽 등이 있다. 북구에는 공동 작업 형태의 은빛두레[농산물 전처리 및 공산품 조립·포장작업], 제조 판매 형태의 꿀벌나라[양봉], 대장금[북구청 구내식당 및 매점 운영], 리스타트 실버택배, 자연으로 의료기 사업[의료기기 및 복지용구 판매·임대], 로맨스카페, 늘봄사업[향초 등 제작 판매] 등이 있다. 동구에는 6070다방, 동구 시니어 택배, 여로[한옥 게스트하우스], 우리학교 깔끄미, 임대주택 청소 관리, 클린 환경, 아파트 클린, MS 클린[상가건물 사무실, 공용공간, 화장실 등의 청소 관리] 등의 사업이 있다. 광산구에는 엄마사랑 손맛 사업, 신토불이 사업, 행복 실버하우스, 6070 택배사업을 고유 사업으로 시니어 매장[두부 판매]을 운영하고 있다. 남구의 시장형 사업으로는 숲문화해설, 가인카페 운영, 명아주 지팡이 제작, 사직골 쉼터 봉제, 식당 아띠애, 어르신 아파트 택배, 참기름 제조, 손구레 금수레, 우리학교 깔끄미 사업 등이 있는데, 남구시니어클럽의 명아주지팡이 사업은 남구 소재의 밭에서 명아주를 길러 1m~2m 정도의 곧게 자란 줄기를 지팡이로 만든 청려장(靑藜杖)으로 보건복지부에 일괄 납품하여 소득을 창출하는 대표적인 사업이다.

셋째, 광주광역시 시니어클럽의 사회서비스형 사업으로 서구에는 노인 복지시설 지원 사업 및 지역 내 데이터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수입원 활동이 있으며, 북구에는 어린이집 연계 지원,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유치원 연계 지원 사업 등이 있다. 동구에는 관내 지역아동센터, 교육·보육 시설 등을 중심으로 급식 지원, 정서 지원 및 환경 정비를 지원하는 아동 사회 서비스, 시니어 가스안전관리원이 있으며, 남구에는 생태학습 지원, 공공데이터 구축 지원, 시니어 소비 피해 예방 지원 사업 등이 있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노인일자리포털(http://gjsenior.kr)
  • 광주광산시니어클럽 카페(https://cafe.naver.com/gscsilver/5)
  • 광주동구시니어클럽(http://www.gjw.or.kr/gdcsc)
  • 광주남구시니어클럽 카페(https://cafe.daum.net/kjnoin0773)
  • 광주서구시니어클럽(http://www.noinjob.org/xe)
  • 한울복지재단(http://silver114.or.kr)
  • 한국시니어클럽협회(http://www.silverpower.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