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평화시장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528
한자 平和市場
영어공식명칭 Pyounghwa Marke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 27번길 33[중흥2동 341-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성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평화시장 개설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평화시장 건물 허물고, 평화프라자 신축
최초 설립지 평화시장 - 전라남도 광주시 북구 중흥동
현 소재지 평화프라자 -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 27번길 33[중흥2동 341-6]지도보기
성격 판매 시설
면적 1,980㎡[대지 면적]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2동에 있었던 상설 시장.

[개설]

평화시장은 1977년 개설되었다. 시장 주변은 주택지로 둘러싸여 있고, 가장 가까운 공공건물로는 1929년에 세워진 효동초등학교가 있다.

[건립 경위]

평화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말이었다. 1968년 태봉산을 허물어 그 흙으로 경양방죽[옛 광주시청 일대에 있던 인공호수]을 매립하고 이듬해 광주역사가 이전되면서, 주택지 조성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그러나 경양방죽 일대의 매립이 끝난 다음에도 평화시장 인근은 아직 인구 밀집지역은 아니었다. 이후 부동산 투기 붐이 일어나면서 지금의 중흥2동 일대에 주택들이 들어서게 되었고, 1970년대 전반기에 시장 개설의 필요성이 생겨났다. 평화시장은 당시에 도시계획상 시장 부지로 설정되어 있었다.

[변천]

평화시장은 1977년 개설 당시부터 주변에는 이렇다 할 상가가 없었고, 주변 상권과도 확연히 분리되어 있었다. 서쪽으로는 복개되기 이전의 용봉천서방천이 흘렀고, 남쪽으로는 광주역경전선 철도 그리고 순환도로에 막혀 있었다.

[구성]

평화시장이 운영될 동안에 시장의 규모는 대지 600평[1,980㎡]에 78개의 점포가 있었다. 1977년 시장 개설과 동시에 시장 내 상인들 간의 단체인 번영회가 결성되었는데, 회원은 50명~60명이었다고 한다.

[현황]

평화시장은 5명이 합자회사로 시작하였는데, 1993년 기존의 건물을 헐어내고 신축하였다. 1993년 9월부터 점포 67개에 종업원 22명이 일하는 현대식 상설 시장인 ‘평화프라자’가 영업 중이다. 평화프라자란 이름으로 거듭난 이 건물은 948.8평[3,131.00㎡] 규모로서, 기존 상인들이 분양을 받아 입주해 장사를 하였다. 중흥2동 주민자치위원회는 2017년 광주광역시 마을공동체 커뮤니티 조성사업에 선정되어 광주광역시 북구 서암대로 229[한사랑요양원 뒷편]에 '간뎃골 사랑방[북구 중흥동 일대의 옛 지명]'을 조성하였다. 이곳은 주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주민쉼터, 작은 책방, 각종 전시, 교육을 위한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매년 평화프라자 앞에서 ‘간뎃골’ 영화제가 열리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