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241
영어공식명칭 Yang Changgeu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64년 12월 10일연표보기 - 양창근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80년 - 양창근 숭의실업고등학교 1학년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80년 5월 19~22일 - 양창근 5.18민주화운동 시위 대열 참여
몰년 시기/일시 1980년 5월 22일연표보기 - 양창근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7년 5월 - 5.18구묘지에서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
학교|수학지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오방로 34-13[방림동 50-3]지도보기
활동지 시외버스공용터미널 - 전라남도 광주시 동구 대인동 지도보기
묘소 국립5.18민주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200[운정동 563]지도보기
성격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성별
대표 경력 숭의실업고등학교 학생

[정의]

전라남도 광주시에 거주하였던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개설]

양창근[1964~1980]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신분으로 5.18민주화운동 시위를 하던 중 전라남도 광주시 시외버스공영터미널[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225] 부근에서 머리에 계엄군의 총격을 받아 사망하였다.

[활동 사항]

양창근은 1980년 당시 숭의실업고등학교[지금의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었다. 5월 19일 전라남도 광주시 모든 학교에 휴교 조치가 내려지자 양창근은 학교에서 일찍 돌아왔다. 양창근은 가방만 둔 채 집을 나서서 친구들과 함께 시위대에 합류하였다.

양창근은 집을 나선 뒤 줄곧 5.18민주화운동 시위에 참여하다가 5월 22일 시외버스공영터미널 부근에서 머리에 계엄군의 총격을 받아 사망하였다. 사망 원인은 총상으로 인한 두부 관통이었다. 5월 27일 5.18민주화운동이 끝난 뒤 양창근망월묘지공원[5.18구묘지]으로 옮겨졌다.

가족들은 며칠 동안 양창근을 찾아 헤맸지만, 한참이 지나서야 망월묘지공원에서 찾게 되었다. 심하게 부패된 양창근의 얼굴을 알아보기 힘들었기 때문에 어머니는 시신의 소지품과 집에서 입고 나갔던 교련복으로 아들을 겨우 확인할 수 있었다. 가족들이 시신을 확인한 뒤에야 양창근망월묘지공원에 안장되었다. 1997년 5월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되었다.

[묘소]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묘지번호는 1-38이다.

[상훈과 추모]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