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163
한자 崔正斗
영어공식명칭 Choe Jeongdu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송보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8년 12월 30일연표보기 - 최정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10일 - 최정두 광주 3.10만세운동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9월 15일 - 최정두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 형 선고받음
몰년 시기/일시 1930년 1월 26일연표보기 - 최정두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최정두 대통령 표창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최정두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군 본촌면 양산리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강점기 광주 3.10만세운동을 주도한 전라남도 광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최정두(崔正斗)[1898~1930]는 전라남도 광주군 본촌면 양산리[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5일 서울에서 유학 중이던 최정두는 전라남도 광주로 내려와 독립만세 시위를 일으킬 것을 제안하였다. 1919년 3월 10일 시위 군중의 선두에 서서 만세 시위를 지휘하던 중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활동 사항]

1919년 3월 5일 서울에서 유학 중이던 최정두는 서울 3.1운동에 참가하였던 김철(金鐵)[김복현(金福鉉)]과 함께 전라남도 광주로 내려와 효천면 양림리[지금의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남궁혁(南宮赫) 목사의 집에 모인 동지들에게 서울의 만세 시위 정황을 전달하고, 광주에서도 독립만세 시위를 일으킬 것을 제안하였다. 최정두는 「독립선언서」, 태극기, 격문, 「독립가」를 인쇄하는 등 시위 준비를 하였다.

1919년 3월 10일 오후 2시경 숭일학교 학생의 나팔 소리를 신호로 기독교인, 숭일학교·수피아여학교·광주공립농업학교 학생 및 일반 주민들이 부동교 아래 작은장터로 몰려나왔고, 시위 군중은 1000여 명에 달하였다. 최정두는 시위 군중의 선두에 서서 만세 시위를 지휘하던 중 체포되어 1919년 9월 15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 형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최정두는 1930년 1월 26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