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091
한자 金斗采
영어공식명칭 Kim Duchae
이칭/별칭 김광두채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노기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2년 10월 18일연표보기 - 김두채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7년 5월 23일 - 김두채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27년 10월 - 김두채 광주소년동맹 소년단원으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29년 11월 11일 - 김두채 백지동맹 참여
몰년 시기/일시 1947년 3월 7일연표보기 - 김두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2년 5월 25일 -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명예 졸업장 수여
추모 시기/일시 2019년연표보기 - 김두채 대통령 표창 추서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수기옥정 136
거주|이주지 전라남도 광주군 기례방면
학교|수학지 전남여자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158번길 8[장동 39-12]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광주소년동맹 소년단원

[정의]

일제강점기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한 여성 독립유공자.

[개설]

김두채(金斗采)[1912~1947]는 1912년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수기옥정(須奇屋町) 136[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에서 태어났다. 1927년 10월 창립된 광주소년동맹에서 소년단원으로 활동하였으며, 광주학생운동의 한 축인 백지동맹(白紙同盟)에 참여하였다. 1930년 1월 15일 자택 근신 징계 처분을 받고, 1930년 3월 30일 동지 석방, 동맹휴학, 백지동맹 사건 등을 주도하다가 퇴학 처분을 당하였다.

[활동 사항]

김두채는 1927년 5월 23일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지금의 전남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1927년 10월 창립된 광주소년동맹에서 소년단원으로 활동하며 일찍부터 독립운동에 가담하였다. 1929년 11월 11일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상급반으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의 한 축인 백지동맹에 참여하였다. 백지동맹을 주도한 인물은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3학년 급장이었던 최순덕(崔順德)이었다.

최순덕은 동급생이며 전라남도 광주면 부면장 박계일의 딸이었던 박지의 협조를 받아 거사 전날 박지 고모 집에서 전단지 150여 장을 만들었다. 1929년 11월 11일 학교에 일찍 도착하여 등교생에게 전단지를 나누어 주었다. 그리고 시험이 시작되기에 앞서 각 학급을 돌며 칠판에 '시험 거부' 투쟁에 대해 적었다.

김두채는 급우들과 운동장으로 뛰어나가 "구속 학생 석방하라", "식민지 교육 철폐하라", "중간고사 거부한다", "일본인은 일본으로 돌아가라" 등을 외쳤다. 그리고 동지 석방 투쟁, 동맹휴학 등을 주장하였다. 결국 1930년 1월 15일 자택 근신 징계 처분을 받고, 1930년 3월 30일 동지 석방, 동맹휴학, 백지동맹 사건 등을 주도하다가 퇴학 처분을 당하였다.

퇴학 처분을 당한 후 미국 남장로교 유진 벨(Eugene Bell)[배유지(裵裕祉)] 선교사가 설립한 수피아여학교로 전학을 갔다. 김두채수피아여학교를 졸업하고 광주소년동맹위원장 강석원(姜錫元)과 결혼하였다. 김두채의 남편 강석원은 광주학생항일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였다. 강석원은 1927년 10월 광주소년동맹에 가입하여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27년 11월 광주청년동맹을 설립하여 비밀결사 운동과 광주학생항일운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하였다. 1931년 6월 13일 강석원은 대구복심법원 징역 1년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처럼 김두채의 결혼 생활은 독립운동에 앞장선 남편 강석원의 구속으로 어려움과 고난의 연속이었다. 그리고 일본 경찰은 수시로 김두채를 경찰서로 끌고 가 독립운동을 하는 남편과 동지들의 행적을 추적하기 위하여 협박과 고문을 자행하였다. 김두채는 일제의 수없는 위협에도 굴복하지 않고 끝까지 견디며 이겨내었다.

김두채는 일제 식민지 정책인 신사참배 강요와 일본식 성명 강요에도 절대 거부하였다. 그러자 일본 경찰은 김두채를 연행하여 구속과 압제를 가하였다. 일제 식민지하에서 모진 고문 후유증으로 1947년 3월 7일 사망하였다. 그 후 40여 년 지난 1972년 5월 25일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명예 졸업장을 받았다.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는 광주학생항일운동 등으로 47명에 이르는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였다.

[상훈과 추모]

2019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