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강석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083
한자 姜錫元
영어공식명칭 Gang Seokwon
이칭/별칭 성진회,독서회,강해석,강영석,강사채,광주소년동맹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노기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8년 8월 21일연표보기 - 강석원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4년 - 강석원 경신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25년 - 강석원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26년 - 강석원 일본 도쿄 암창철도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27년 10월 - 강석원 광주소년동맹 가입 및 위원장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29년 11월 3일 - 강석원 학생투쟁지도본부 설치
활동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강석원 대통령 표창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강석원 건국훈장 애족장 수여
몰년 시기/일시 1991년 1월 7일연표보기 - 강석원 사망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군 서로문 74
거주|이주지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수기옥정 171
학교|수학지 경신학교 - 서울
학교|수학지 암창철도학교 - 일본 도쿄[東京]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광주소년동맹 위원장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에서 활동한 독립유공자.

[개설]

강석원(姜錫元)[1908~1991]은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수기옥정(須奇屋町)[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에서 태어났다. 1929년 전라남도 광주 비밀결사회인 성진회(醒進會)독서회(讀書會)를 배후에서 이끌고 광주학생운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받았다. 강석원의 형 강해석(姜海錫)[1904~1973]과 강영석(姜永錫)[1906~1991], 여동생 강사채(姜四采)[1915~1999] 등 가족 모두 독립운동에 가담하였다.

[활동 사항]

강석원광주공립보통학교[지금의 광주서석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서울로 상경하여 경신학교에 입학하여 1년간 수학하였다. 1925년 다시 전라남도 광주로 내려와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지금의 광주제일고등학교]에 다녔다. 1926년 일본으로 유학길에 올라 일본 도쿄[東京] 암창철도학교(巖倉鐵道學校)에 들어갔다. 암창철도학교의 조선인들은 주로 본과, 건설과, 토목부 고등과 등에 재학하였다.

1927년 6월 광주 학생 비밀결사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학업을 그만두고 전라남도 광주로 귀향하였다. 1927년 10월 광주소년동맹(光州靑年同盟)에 가입하여 위원장으로 활동하였으며, 1927년 11월 광주청년동맹에서 비밀결사 활동을 이끌었다. 또한 광주 학생 비밀결사체인 성진회를 지원하고 후속 모임인 독서회를 지도하며 이끌었다.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자 장재성(張載性), 장석천(張錫天), 국채진(菊埰鎭) 등과 함께 학생투쟁지도본부를 설치하고 학생 투쟁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광주학생운동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발전시킬 계획을 세웠다. 이때 강석원은 외래 동지와 연락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1929년 11월 12일 서울로 가서 차재정(車載貞)과 장석천 등을 만나 서울 학생 시위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비밀리에 격문 약 2만 장을 인쇄하여 전국에 발송하였다. 그러나 강석원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당하고 구속되었다. 『사상월보』 광주학생사건 신원 조서에, 강석원이 격문을 취급한 점에 일제의 경찰이 크게 주목하였다.

1930년 10월 27일 강석원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받았고, 이에 항소하여 1931년 6월 13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