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강해석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084
한자 姜海錫
영어공식명칭 Gang Haeseok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노기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4년 1월 18일연표보기 - 강해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6년 - 강해석 전남청년회연합회, 전남청년연맹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26년 11월 - 강해석 성진회 조직
몰년 시기/일시 1973년 4월 25일연표보기 - 강해석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5년연표보기 - 강해석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군 기례방면 성저리
거주|이주지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 161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전남청년연합회 준비위원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에서 활동한 독립유공자.

[개설]

강해석(姜海錫)[1904~1973]은 1904년 1월 18일 전라남도 광주군 기례방면 성저리[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5가]에서 태어났다. 강해석의 남동생 강영석(姜永錫)[1906~1991]과 강석원(姜錫元)[1908~1991], 여동생 강사채(姜四采)[1915~1999] 모두 독립운동가이다. 1928년 4월 전라남도 광주 항일학생결사인 성진회(醒進會)를 이끌었다. 이경채(李景采) 항일격문 배포에 관련되어 3개월여의 옥고를 치렀으며, 2개월 후 다시 체포되어 징역 3년 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활동 사항]

강해석은 1926년 전남청년회연합회와 전남청년연맹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6년 11월 광주농업학교 재학 중, 전라남도 광주군 부동정(不動町)[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에 있는 최규창(崔圭昌)의 하숙집에서 광주고등보통학교[지금의 광주제일고등학교] 학생 등 16명이 함께 모여 조국의 독립, 사회과학 연구, 식민지 노예 교육 체제 반대 등을 강령으로 하는 항일학생결사인 성진회를 조직하였다. 그런데 회원 중 이탈자가 생겨 1927년 3월 해체하고 학교별로 조직하였고, 지용수(池龍洙)와 조직을 지도하며 이끌었다.

성진회광주고등보통학교, 광주농업학교 등을 중심으로 결성된 비밀결사 조직으로 항일학생운동 단체이었다. 강해석은 전라남도 광주 지역의 각급 학교와 광주고등보통학교의 동맹휴학을 주도하여 독립선언의 격문을 살포하는 등 활동을 하다가 학교로부터 퇴학을 당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