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958
한자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김희태

[정의]

광주광역시 관내에 있는 각종 비석.

[개설]

광주광역시 관내의 비는 『광주의 문화유적』에는 신도비 9기, 유허비 18기, 효열비 45기, 기타비 44기 등 116기가 조사된 바 있고,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에는 모두 539기가 조사되었다.

[유형과 현황]

유형별로 보면 묘비와 신도비가 광산구 월봉서원 부근에 있는 고봉 기대승신도비(高峯奇大升神道碑), 남구 칠석동에 있는 부용정 김문발 신도비(芙蓉亭金文發神道碑), 서구 서창동에 있는 눌재 박상 신도비 등 65기, 송덕비가 북구 충장사에 있는 형조좌랑 김덕령은륜비[1842년 건립], 서구 서창동에 있는 농선대시주비[1769년 건립] 등 160기, 정려·충효열비가 남구 광주공원에 있는 권율 창의비[1903년 건립]와 충효동에 있는 김덕령 충효리비[1789년 건립] 등 116기, 유허비와 사적비가 광산구 도촌동에 있는 취병조형유허비[1873년 건립] 등 66기, 기념·현충·위령비가 광주제일고등학교에 있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탑[1954년 건립] 등 56기, 묘정비(廟庭碑)가 남구 포충사에 있는 포충사묘정비 등 19기, 시비가 광산구 송정공원에 있는 용아 박용철의 「떠나가는 배」 시비 등 52기, 열사비가 북구 전남대학교에 있는 윤상원 열사 기념비 등 17기이다.

지역별로 보면 동구가 68기, 서구가 75기, 남구가 139가, 북구가 135기, 광산구가 118기, 기타 4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