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광주시사』[1966]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88
한자 光州市史1966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66년연표보기 - 『광주시사』[1966] 간행
간행처 광주시사편찬위원회 - 전라남도 광주시
성격 향토지
간행자 광주시사편찬위원회
표제 광주시사

[정의]

광주시사편찬위원회에서 1966년에 간행한 광주의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전라남도 광주시의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광주시사(光州市史)』 편찬을 계획한 것이 1965년 1월이고, 그 해 2월에 광주시편찬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사료를 수집하고 원고를 정리하여 1966년 2월에 발간되었다.

[형태]

354쪽의 분량이고, 책의 크기는 26㎝이다.

[구성/내용]

서문으로 시작하여 총 7편으로 구성된 본문과 발문, 판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노인환(魯麟煥)이 작성하였다.

제1편은 총론으로 1장 지리, 2장 인구, 3장 역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에는 하위의 절이 있다. 1장 지리에는 1절 위치, 2절 지세, 3절 면적, 4절 기상이 있다. 2장 인구에는 1절 인구변천, 2절 총인구, 3절은 인구구성에 대해 다루었다. 3장 역사에는 1절 고대, 2절 중고(中古), 3절 근세로 나누어 살폈다.

제 2편은 정치로 1장 독립운동, 2장 해방 이후의 정치, 3장 행정제도의 변천, 4장 사법 및 치안, 5장 군사(軍事)로 구성되어 있다. 1장 독립운동에는 1절 3.1운동, 2절 광주학생독립운동을 다루었다. 2장 해방 이후의 정치에는 1절 해방과 격동기, 2절 6.25전쟁과 정국, 3절 4.19혁명과 5.16 혁명을 소개하였다. 3장 행정제도의 변천에는 1절 고대행정제도의 개요, 2절 이조(李朝)의 지방제도, 3절 행정구역 및 기구의 변천, 4절 지방의회를 정리하였다. 4장 사법 및 치안에는 1절 사법, 2절 치안을 설명하였다. 5장 군사에는 1절 병제(兵制)의 개요, 2절 해방 후의 병제로 나누어져 있다.

제 3편은 경제로 1장 산업, 2장 재정과 금융, 3장 교통과 운수, 4장 통신, 5장 사세(司稅)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산업에는 1절 농업, 2절 축산, 3절 광공업, 4절 상업을 다루었다. 2장 재정과 금융에는 1절 세입과 세출, 2절 재산, 3절 조세, 4절 금융을 소개하였다. 3장 교통과 운수에는 1절 도로와 교량, 2절 철도, 3절 운수를 설명하였다. 4장 통신에는 1절 전신, 2절 전화로 구성되었다. 5장 사세는 1절 세제의 변천으로 되어 있다.

제 4편은 사회와 보건으로 1장 사회, 2장 보건, 3장 도시관리로 나뉘었다. 1장 사회에는 1절 사회사업, 2절 노동단체의 현황, 3절 풍속, 4절 성씨를 다루었다. 2장 보건에는 1절 풍토병 및 전염병, 2절 보건대책, 3절 보건시설을 설명하였다. 3장 도시관리에는 1절 도시계획, 2절 소방, 3절 치수(治水)와 사방(砂防), 4절 급수(給水), 5절 공원, 6절 오물 수거를 다루었다.

제 5편은 교육으로 1장 해방 이전의 교육, 2장 학교교육의 현황, 3장 사회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해방 이전의 교육에는 1절 이조시대의 교육, 2절 왜정치하(倭政治下)의 교육, 3절 해방 이후의 교육을 다루고 있다. 2장 학교교육의 현황에는 1절은 대학, 2절 중고등학교, 3절 국민학교를 소개하고 있다. 3장 사회교육에는 1절 사회교육, 2절 시립도서관과 시립박물관에 대한 내용이 있다.

제 6편은 종교와 문화로 1장 종교, 2장 예술, 3장 언론, 4장 체육, 5장 명승고적(名勝古蹟)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종교에는 1절 불교, 2절 기독교, 3절 천주교, 4절 원불교, 5절 유도(儒道)를 다루었다. 2장 예술에는 1절 문학, 2절 미술, 3절 음악, 4절 무용, 5절 연극, 6절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전남지부로 되어 있다. 3장 언론에는 1절 신문과 잡지, 2절 방송을 다루었다. 4장 체육에는 1절 체육시설, 2절 각종목별 현황, 3절 제46회 전국체육대회를 설명하였다. 5장 명승고적에는 1절 사찰, 2절 단(壇)·사(祠)·재작(齋閣)·공해(公廨)·누정(樓亭), 3절 지정문화재, 4절 사적비·기념비, 5절 유적, 6절 명목(名木)·임수(林藪)로 나뉘었다.

제 7편은 인물로 별도의 장이 없고 1절 애국열사, 2절 문인(文人)·도학(道學), 3절 명환(名宦), 4절 효열(孝烈)로 나누어 살피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전라남도 광주시의 역사를 다룬 최초의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사회·문화·정치·예술 등의 다양한 정보를 망라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