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농민 단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723
한자 農民團體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최소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2년 3월 18일 - 조선소작인상조회 전남지회 조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2년 11월 - 조선노동공제회에서 광주노동공제회로 명칭 변경 및 독자적인 활동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2년 12월 20일 - 광산소작인조합 조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3년 3월 14일 - 광주면 소작인회 조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3년 4월 29일 - 광주소작인회연합회 조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1년 10월 - 전남농민조합 조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1년 12월 19일 - 전남노농협의회 조직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농민들에 의해 조직되고 운영되었던 단체 및 운동.

[개설]

1922년 조선소작인상조회 전남지회 조직을 시작으로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는 농민들에 의해 다양한 농민 단체가 조직되었고, 생활 향상을 위한 농민 투쟁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 농민 단체와 농민 투쟁]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맨 처음 조직된 농민 단체는 조선소작인상조회 전남지회였다. 조선소작인상조회는 1921년 8월 친일 귀족인 송병준 등이 지주와 소작인 사이에 분배를 공평하게 하고, 소작인의 생활 상태를 개선한다는 명분 아래 조직한 단체이다. 이에 따라 1922년 3월 18일 조선소작인상조회 전남지회가 조직되었다. 이후 1922년 8월까지 영광, 함평, 나주, 장성, 구례 등에 지회가 설치되지만 뚜렷한 활동을 펴지는 않았다. 이는 임원진 대부분이 대지주이거나 상공인이어서, 소작인들의 이익을 제대로 대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인 듯하다.

조선소작인상조회 전남지회가 어떠한 활동을 전개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간부인 조선노동공제회 광주지회 부회장 정인준(鄭仁俊), 광주청년회 초대 회장 최종섭(崔鍾涉), 광주청년회 서기 겸 조선노동공제회 광주지회 의사[평의원] 전순래(全洵萊), 조선노동공제회 김성대(金聲大) 등을 통해 단체의 성격과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 지주·중소 상공인들이 자신들의 영향 아래에 있는 소작농민을 동원하여 조직한 단체로, 지주의 기득권을 크게 침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소작농민의 경제적 상태를 개선하고자 한 개량적 성격을 가졌다. 또한, 계몽 운동을 견지하며 지주와 소작농민 양측의 각성과 협조적 관계를 강조하고, 소작농민의 상부상조와 지식 계발, 지주의 양보를 통한 소작농민의 생활 향상을 지향하였다.

1922년 12월 20일 광주군 송정면 송정리[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서 광산소작인조합이 창립되었는데, 조선소작인상조회 전남지회와 마찬가지로 유력자의 지도 아래 조직되었다. 그러나 조선소작인상조회 전남지회와는 달리 자발적으로 참여한 소작농민이 많았다. 광산소작인조합은 1923년 3월 남선농민연맹회(南鮮農民聯盟會)에 가맹하였는데, 남선농민연맹회는 순천·여수·광양 농민들의 치열한 투쟁 성과 위에 조직되어 소작료 4할과 지세(地稅) ·공과(公課) 지주 부담 등의 요구를 관철하고자 활동한 조직이다. 광산소작인조합의 활동 방향이 지주의 양보와 협조를 구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광주노동공제회는 1920년 8월 조선노동공제회 광주지회로 출발하였으나, 1922년 11월 광주노동공제회로 회명을 고치고 독자적인 조직으로 재출발하였다. 광주노동공제회는 소작 문제는 소작인의 철저한 자각과 공고한 단결에 의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역설하면서 단체 결성을 통한 소작농민의 단결을 촉구하였다. 1923년 3월 4일 광주청년회와 함께 광주군 본촌면, 극락면, 서방면, 우치면, 석곡면, 효천면, 지한면 등 7개 면에 강연대를 파견하여 소작인회 취지서를 배부하고 강연을 하였다. 취지서에는 다음과 같은 7가지 지주에 대한 요구조건이 담겨져 있었다.

무고한 소작권 이동 방지, 소작료는 전 수확의 4할 이내, 지세와 공과의 지주 부담, 두량(斗量)은 평목(平木)을 사용하여 공평히 할 것, 소작료 운반은 1리[약 393m] 이내, 마름의 중간 소작 폐지, 1원(圓) 이상의 수리시설 수축비용은 지주가 부담할 것 등이었다. 이는 당시의 소작 관행에 비추어 지주들의 '대표적인 양보'를 요구하고 있었다.

광주노동공제회의 선전 활동으로 1923년 3월 14일 광주면 소작인회가 최초로 출현한 이래 4월까지 군내 15개 면 전체에서 소작인회가 조직되어 농민 투쟁을 하였다.

광주소작인회연합회는 1923년 4월 29일 결성된 광주군 15개 면 소작인회의 연합기관이었다. 광주소작인회연합회는 소작권의 안정과 소작료의 인하를 위한 활동을 벌여 한 달 만에 300여 소작인들의 권리를 찾아주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으며, 지주들과의 투쟁을 승리로 이끌기도 하였다.

빼앗긴 소작권을 되돌리는 활동을 시작으로, 작황을 보이는 곳을 택해 1평[약 3.3㎥]에서 벼를 베어 정확한 생산량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전 수확을 계량하는 방식인 평예(坪刈)를 실시하였다. 소작료의 산정과 납부 방식에 관한 구체안을 마련하였으며, 지주들을 굴복시켰다. 커다란 손해를 입은 지주들은 소작농민들을 분열시키고자 하였고, 지주와 일제 행정당국은 소작인회 간부를 체포하였다. 특히 우치면, 석곡면, 하남면[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일대]의 소작인회는 가장 맹렬하게 지주와의 투쟁을 전개하였다.

[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 운동 및 자발적 농민 투쟁]

1930년대에는 세계 대공황으로 인해 일본은 물론 조선의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으며, 일제의 대륙 침략에 따라 농민 수탈도 가중되었다. 농산물 값의 폭락으로 인해 지주들은 농업에 개입하고, 소작료를 인상하였으며, 조세 공과를 소작농에게 전가하였다. 특히 조선인 지주는 일제의 관제기구에 참여하였다. 그런 만큼 농민들의 저항도 커져갔으며, 울분을 참지 못한 농민들이 일제와 지주에 맞서 투쟁하는 사례도 증가하엿다. 그러면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농민 운동의 형태가 나타났다. 바로 혁명적 농민조합 운동이었다. 전라남도에서는 전체 22개 군 가운데 16개 군에 혁명적 농민조합이 조직되었다. 이들 조합은 단순한 농민들의 권익 보장 차원을 넘어 일제 타도와 토지혁명이라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었다.

1931년 12월 19일 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 전남노농협의회가 조직되었다. 전라남도 각지에 분산적으로 활동하고 있던 17개 소그룹 및 단체를 규합하여 조직부 산하의 노동부·농민부·반제부(反帝部)로 편제하였다. 이러한 혁명적 농민조합 건설을 준비해 가던 중 일제 경찰에 수백 명이 검거되는 타격을 입었다. 이후 전라남도에서 재건 운동을 펼쳤지만 준비 단계에서 조직이 드러나면서 실패하였다.

혁명적 농민조합 운동과 관련된 투쟁과 아울러 농민들의 자연발생적인 투쟁도 계속되었다. 1933년 6월 광주군 하남면에서 수십 명의 농민들이 일본식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면서기와 지도인들을 구타함으로써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 1930년대 전라남도 지역 소작쟁의 건수는 1930년 146건에서 1935년 5565건으로 증가하였고, 1930년대 후반까지 매년 3000건 이상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농민의 자발적 투쟁이 계속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