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5398 |
---|---|
한자 | 瑞石平野 |
영어공식명칭 | Seoseok Plain |
이칭/별칭 | 극락평(極樂坪)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광산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현기순 |
전구간 | 서석평야 -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광산구 |
---|---|
해당 지역 소재지 | 서석평야 -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광산구![]() |
성격 | 평야 |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과 광산구 일대의 평야.
서석평야는 황룡강과 극락강이 합류하는 광주광역시 남서쪽에 자리하는 평야로, 전라남도 나주시 일대의 나주평야, 함평군 학교면 일대의 학교평야와 함께 영산강 유역의 충적평야에 해당한다.
서석평야의 명칭은 서석(瑞石)에서 유래되었다. 서석(瑞石)은 무등산 정상 천왕봉에서 남서쪽에 있는 벼랑 바위군이다. 대동여지도에는 '극락평(極樂坪)'으로 표기되어 있다.
서석평야를 발달시킨 영산강은 한강, 낙동강, 금강과 함께 우리나라 4대강의 하나로, 전라남도 담양군 용추봉에서 발원하여 황룡강, 지석천, 고막천 등의 지류를 합쳐 우리나라 최대 곡창지대인 나주평야를 관류하여 서해로 흐른다. 영산강의 유역면적은 3,371㎢이고, 길이는 138.75㎞로 본류의 크기와 길이에 비해 큰 영산강의 지류들은 홍수와 수해를 좌우하고, 범람원의 발달에 영향을 준다. 영산강 수계에는 높이가 낮고 사면의 경사가 극히 완만한 구릉지가 상당히 넓게 발달되어 있다. 구릉지의 높이는 20~60m이고, 비고(比高)[어떤 범위 안의 최고 높이와 최저 높이의 차]는 10~30m이며, 화강암 기반암이 심층풍화를 받아 정상부까지 풍화층이 두껍다. 영산강 유역 낮은 지대의 충적층은 신생대 제4기 충적세에 퇴적된 것으로, 토양 배수가 불량한 편이나 상당히 비옥하여 평야의 대부분이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