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5363 |
---|---|
한자 | 伏龍山風水 |
이칭/별칭 | 무제봉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동|지죽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경수 |
전구간 | 복룡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동|지죽동![]() |
---|---|
성격 | 풍수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동과 지죽동 경계에 있는 복룡산에 대한 풍수 해석.
복룡산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동과 지죽동 경계에 있는 산으로, 용이 엎드려 있는 형국이라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복룡폐현(伏龍廢縣)은 본래 백제 때 복룡현이며, 일명 배룡(盃龍)이라고도 하다가 신라 때 용산(龍山)으로 고쳐 무주의 영현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복룡은 강변에 엎드려 솟은 산을 주로 지칭한다. 기우제를 올려 ‘무제봉’이라고도 한다.
금성산으로 향하던 능선이 동쪽 희여치를 거쳐 황룡강과 평림천이 합류하는 염해평 남쪽에 솟아 있다.
복룡산 정상[228m]에 봉화대를 겸한 성터가 있다. 견훤이 왕건에 쫓기다가 ‘함적굴’ 아래에서 크게 진 뒤, 나주 노안 천동으로 갔다고 한다. 함적굴 ‘점등’은 백자 관요터이다. 복룡현은 고려 때 나주 평구부곡(平丘部曲)이 되었다가 조선시대 직촌화로 폐지되었다. 용동 455번지 관골마을 일대는 남산봉과 소다리봉 사이에 후백제 때 것이라고 전하는 성터가 있고, 옥등괘벽(玉燈掛壁)의 명당터가 있다고 한다.
마을 어귀 저수지 밑 선돌에 복룡현의 관아터임을 알리는 글이 새겨져 있고, 앞들은 ‘오박굴들’이라고 부른다. 옥밭을 뜻하고 옥터로 여겨지는 흔적들이 논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기곡마을 앞쪽 용곡동 713번지와 광산김씨 선산에 해당된 곳이 관아터라는 주장도 있다. 덤벙주초석 7~8개와 함께 언덕에서 고식 기와조각이 많이 나왔기 때문에 주민들이 ‘신원터’라고 칭하고 있어, 관아의 중심이 관골마을에 있다가 뒤에 옮겨진 듯하다.